◈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568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목조문수동자기사상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목조문수동자기사상 <통도사성보박물관> 조선시대 통도사에 전래되는 청사자를 탄 문수동자상이다. 동자상은 두 손이 결실되었고, 백면(白面)에 청의(靑衣)의 채색이 있다. 전체적으로 채색의 박락이 있으며 보현동자와 쌍을 이루었을 것으로 보이나 보현동자는 보이..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목제동녀입상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목제동녀입상 <통도사성보박물관> 조선시대 원형의 대좌 위에 원각상으로 조각되었는데 표면은 종이를 바르고 채색하였다. 부분적 박락이 있으나 대체로 온전한 편이다. 두 손으로는 청색의 사자를 쥐고 있는데 해태의 조각은 탄력있고 견실한 조형미를 지닌다. 동녀..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목제동자입상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목제동자입상 <통도사성보박물관> 조선시대 / 도승스님기증 두 손으로 사자의 앞뒤 발을 잡고 있는 동자상이다. 표면은 종이를 바르고 채색하였는데 청색에 백화의 화문을 지니고 있으며, 조각상의 표현기법은 조형성을 지니는 흥미로운 작품이다. ▲목제동자입상 &lt..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소조지장보살좌상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소조지장보살좌상 <통도사성보박물관> 조선시대16~17세기 또는 麗末鮮初 / 土 / 高11.8 크고 묵직한 두건을 쓴 지장보살좌상인데 두건은 흑색이고 신부(身部)는 초벌 당시에 전신을 백색으로 채색하였으며, 그 위에 다시 청색 등의 채색이 있은 듯하나 거의 박리되었다. ..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금동불좌상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금동불좌상 <통도사성보박물관> 고려시대 표충사의 3층석탑에서 발견된 일괄 유물 가운데 하나이다. 불상은 좌대와 불신, 그리고 광배가 통주되었는데 세부 표현이 치졸한 편이다. 도금은 거의 탈락되었고 둥근 머리부분은 완만한 삼각형을 이룬 육계의 형태를 낮게 ..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萬曆三十四年'銘 목조전패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萬曆三十四年'銘 목조전패 <통도사성보박물관> 조선시대 1606년 본 패는 불패 중에서도 왕실의 왕, 왕비, 세자를 위해 만든 전패이다. 봉안 당시에는 왕, 왕비, 세자의 모든 패가 있는 삼전패였을 것으로 보이나 현재는 왕비의 수명이 오래 가기를 기원하는 패만 남아있..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목조삼보패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목조삼보패 <통도사성보박물관> 조선시대 연화문 대좌 위에 끝이 뾰족한 연봉형 꽃잎을 마련하고 그 중앙 구획 속에 '시방삼보자존(十方三寶慈尊)' 이라고 양각한 삼보패(三寶牌)다. 글자는 일종의 감(龕) 내부에 종으로 명기되었고 그 둘레에는 연주문과 화문 모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