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568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목조사자고대ㆍ홍고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목조사자고대ㆍ홍고 <통도사성보박물관> 조선시대 / 木 / 북직경 73.5 고대높이 112.0 사자의 모습이 기어가는 형태이다. 또 간주(竿柱)에는 소형의 사자가 없으며 연잎 받침에 앙련과 연잎에 거치문을 나타낸 것이 다르다. ▲목조사자고대ㆍ홍고 ▲목조사자 ▲목조사자..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돌당간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돌당간 통도사 당간은 기단부와 전체가 후대에 와서 중수되었지만 지주는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지하에 매설된 2m 가량은 원석 그대로이며 지상 노출 부분은 간공을 뚫는 등 용도에 맞도록 가공한 상태로 서 전체높이는 7.54m이다. 탑의 기단부와 같이 장대석을 놓..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환성당대화상 진영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환성당대화상 진영 <통도사성보박물관> 조선시대 1799년 작 환성지안(喚惺志安-1664∼1729)은 조선조 숙종때 활약한 고승으로, 통도사뿐만 아니라 범어사(1990년 도난분실)와 동국대 박물관에도 진영이 남아 있다. 이 진영은 우팔분면(右八分面)의 의자상으로, 왼손은 불자..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자장율사 진영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자장율사 진영 <통도사성보박물관> 조선시대 1804년 작 해장보각 (海藏寶閣-開山祖堂)에 봉안되었던 통도사의 개산조(開山祖)인 자장율사의 진영이다. 좌팔분면(左八分面)의 의자상이나 가부좌한 자세이며, 왼손에는 불자(拂子)를 잡고 오른손으로는 불자의 술을 만지..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옥련암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옥련암 서운암에 된장독이 유명하다면 옥련암은 단연 모각 나한상이다. 큰빛의 집이라는 당호를 지닌 전각에는 200여기의 목각 나한상이 불전을 가득 메우고 있어 답사객의 눈맛을 즐겁게 한다. 역사는 오래지 않으나 한번쯤 들러볼 만한다. ▲옥련암 ▲큰빛의 집 ▲큰빛..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서운암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서운암 통도사는 그 어느 사찰보다도 산내암자가 많기로 유명하다. 절골이라 불리우는 통도사 계곡에서 자그마치 20여개소의 암자가 즐비하여 사시사철 독경소리가 그치지 않는다. 상스러운 구름이 서려있다는 서운암에 오르면 구름처럼 무수히 많은 장독대를 만나게 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