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568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삼층석탑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삼층석탑 영산전 앞에 서 있는 이 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에는 기둥모양이 표현되고 특히 아래층에는 안상(眼象)이 얕게 조각되어 있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을 교대로 올려 조성하고, 지붕돌 처마의 곡선처리와 귀퉁이에서의 치켜올림이 한..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극락보전 반야용선도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극락보전 반야용선도 반야용선(般若龍船)은 어지러운 세상을 넘어 피안의 극락정토에 갈 때 탄다는 배를 말한다. 반야(般若)란 모든 미혹(迷惑)을 끊고 진정한 깨달음을 얻는 힘이나 모든 법을 통달하여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마음의 작용을 뜻한다. 반야용선도는 망자를 ..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약사전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약사전 약사전은 약사불의 동방유라광정토를 상징하는 전각이다. 약사전은 1369년(공민왕 18) 성곡대사(星谷大師)가 세웠으며, 현재의 건물은 그 양식으로 보아 18세기 후반 극락전과 함께 중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앞면 3칸, 옆면 1칸으로 옆모습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영산전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영산전 영산전을 중심으로 앞쪽에 만세루, 서쪽에 약사전, 동쪽에 극락보전 등이 자리잡고 있다. 이곳을 하로전(下爐殿)이라고 한다. 하로전지역은 석가, 아미타, 약사의 삼여래에 대한 신앙을 각각 불전을 달리하여 분화해 나간 형식을 취하고 있다. 즉 하로전지역은 석가..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범종루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범종루 천왕문을 지나면 바로 범종루가 서 있다. 범종루는 2층 누각 형식의 건물로서 정면 상하 3칸, 측면 2칸의 팔작(八作) 지붕 건물이다. 현판에는 ‘범종루, 범종각, 통도사’ 등의 글씨가 적혀 있고, 기둥마다 주련이 달려 있다. 상하 층에 4물(物)을 비치하고 있다. 4물..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천왕문ㆍ가람각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천왕문ㆍ가람각 일주문을 지나 개울을 따라 오르면 4천왕을 모신 천왕문으로 들어서게 된다. 천왕문은 4천왕과 금강 역사(力士)의 힘으로 절을 보호하고 악귀를 막아서 사찰을 청정한 도량으로 만들려는 데 있으며, 절을 찾는 이의 마음을 다시 한 번 엄숙하게 하려는 뜻도..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일주문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일주문 삼성반월교를 건너면 일주문을 만난다. 일주문은 절에 들어갈 때 지나는 첫번째 문으로 기둥의 배열이 한 줄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일주문은 우리 나라 고유의 양식으로서 다른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이처럼 독특한 일주문의 양식은 사찰..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삼성반월교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삼성반월교 통도사는 동서로 길게 조성된 가람이다. 최근에 건축된 산문을 지나면 통도사의 남쪽을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시내가 있다. 일주문 앞에 이 시내를 건너는 다리가 바로 삼성반월교이다. 삼성반월교는 세 개의 무지개 돌다리로 구축하였다. 이름은 불교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