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응진전
응진전은 대웅전의 서남쪽에 위치하고 있는데 조선 숙종 3년(1677)에 지섬대사가 지었다고 전한다. 앞면 3칸·옆면 3칸으로 지붕 옆모습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다. 지붕을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의 건물로 비교적 간결하다. 그러나 공포의 구조가 주심포 이외의 양식을 쓰고 있어 절충된 양식을 보이고 있다. 통도사 응진전은 공포를 제외하면 주심포 양식의 특징을 잘 갖추고 있는 조선 후기의 건축물이다.
내부에는 석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미륵보살, 오른쪽에는 제화갈라보살을 같이 모시고 있다. 또한 16나한상도 같이 모시고 있는데 이것은 과거·현재·미래 모습의 석가와 16제자를 뜻한다. 가장자리에는 범천(梵天)과 제석(帝釋)을 같이 봉안하고 있다. 제화갈라 보살은 과거불이고 석가여래는 현세불이며 미륵불은 미래불이라고 볼때 이 응진전은 과거 현재 미래의 부처님과 16나한이 함께 모셔진 곳이란 의미를 갖는다. 응진(應眞)이란 진리에 응하여 남을 깨우친다는 의미다. 이 말은 중생의 공양에 응할만한 수행자라는 응공(應供)과도 같은 의미이다. 때문에 불교에서는 나한(羅漢)을 일컫는 말로 쓰고 있다. 나한상을 모신 곳을 응진전이라 하는 것도 이런 까닭에서다. 나한은 16나한도 있고 5백나한도 있다. 그것은 나한이란 수행력이 뛰어난 성인을 부르는 것이기 때문이다.
▲응진전
▲응진전
▲신장상 벽화
<2010. 5. 1>
'◈한국문화순례◈ > 낙남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삼성각 (0) | 2010.06.10 |
---|---|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구룡지 (0) | 2010.06.09 |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명부전 (0) | 2010.06.09 |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금강계단 (0) | 2010.06.08 |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대웅전 (0) | 2010.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