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견보탑품변상도(見寶塔品變相圖)
견보탑품변상도(見寶塔品變相圖)는 영산전 서쪽 벽면에 석가와 다보여래 곧 이불병좌상이 있는 다보탑 벽화이다. 화려하게 장식된 탑, 석가, 다보여래의 설법을 듣는 보살과 성문중 등이 적절하게 분산 배치되어 있고 색채 또한 빨강, 녹청, 군청에 더하여 황토, 배색을 알맞게 사용하여 밝고 화사하며 특히 중간 색조에 의한 구름은 부드럽고 아름답다. 변상도는 벽면 공간을 잘 이용한 구성의 치밀함, 뛰어난 색채 감각 등 상당한 수준의 화공에 의해 제작되었음을 짐작케 한다. 특히 독립된 이불병좌상이 있는 다보탑으로는 유일한 것이다. 견보탑품변상도는 묘법연화경에 나오는 석가여래 상주설법과 다보여래 상주증명의 장면을 상징한 것이다. 묘법연화경 견보탑품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견보탑품변상도(見寶塔品變相圖)
▲하늘구름(天雲)
그 때 보배탑 속에서 큰 소리를 내어 찬탄하였다. 『착하여라, 착하여라. 석가모니불 세존께서 평등한 큰 지혜로써 보살을 가르치는 법이며, 부처님들이 호념하시는 묘법연화경을 대중에게 말씀하시니 그러하고 그러하니라. 석가모니 세존께서 말씀하는 것이 모두 진실하니라.』 이 때 四부대중이 큰 보배 탑이 공중에 머물러 있음을 보았으며, 또 탑 속에서 나오는 음성을 듣고는 모두 법의 기쁨을 얻었고, 전에 없던 일이라 하여 자리에서 일어나 공경하며 합장하고 한 곁에 물러가 있었다. 그 때에 한 보살 마하살이 있으니 이름이 대요설이라 모든 세간의 천상 인간과 아수라 등의 의심함을 알고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무슨 인연으로 이 보배 탑이 땅에서 솟아올랐으며, 또 그 속에서 이런 음성이 나오나이까.』 이 때 부처님이 대요설보살에게 말씀하였다.『이 보배탑 속에는 여래의 전신이 계시니라, 지나간 옛적에 동방으로 한량없는 천만억 아승지 세계 밖에 나라가 있었으니 이름이 보정이요, 그 나라에 부처님이 계셨으니 이름이 다보시었느니라. 그 부처님이 보살의 도를 행하실 적에 큰 서원을 세우시기를 「내가 성불하였다가 열반한 뒤에 시방의 세계 중에 묘법연화경을 말하는 데가 있으면, 나의 탑이 그 경전을 듣기 위하여 그 앞에 솟아올라서 증명하면서 〈거룩하다〉고 찬탄하리라.」
<묘법연화경 견보탑품>
▲견보탑품변상도(見寶塔品變相圖)
▲견보탑품변상도(見寶塔品變相圖)
다보여래는 동방보정세계의 교주이다. 다보여래는 석가모니 이전의 과거불이며, 영원히 살아있는 본체로서의 부처인 법신불이다. 보살로 있을 때에 "내가 성불하여 멸도한 뒤에 시방세게에서 묘법연화경을 설하는 곳에는 나의 보탑이 솟아나와 그 설법을 증명하리라" 하고 서원하였다. 과연 석가여래가 영산에서 묘법연화경을 설할 때 땅속에서 다보여래의 탑이 솟아났고, 그 탑 가운데서 소리가 나와 석가여래의 설법이 참이라고 증명하였다. 묘법연화경 보탑품에서는 다보탑의 모양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그 때에 부처님 앞에 七보로 된 탑이 있으니 높이가 五백 유순이요, 가로와 세로는 二백五十 유순인데, 땅에서 솟아 올라와서 공중에 머물러 있었다. 갖가지 보물로 장식하였으니 난간이 五천이요, 감실이 천만이며, 무수한 당기 번기로 꾸미었고, 보배로 된 영락을 드리우고, 보배의 풍경 만억을 그 위에 달았으며, 四면에서는 다마라발전단향기가 나와서 세계에 충만하였고, 모든 번기와 일산들은 금은 유리 차거 마노 진주 매괴 등의 七보로 만든 것인데 높이가 사천 왕궁 전에 까지 이르렀다. 三十三 천이 하늘의 만다라 꽃을 비내려 보배 탑에 공양하며, 모든 하늘과 용과 야차와 건달바와 아수라와 가루라와 긴나라와 마후라가와 사람과 사람 아닌 이들 천만억 무리들이 모든 꽃 향 영락 번기 일산 풍류로 보배 탑에 공양하며 공경하며 존중하며 찬탄하였다.
<묘법연화경 보탑품>
▲이불병좌상(二佛竝坐像)
▲보살성중상(菩薩聖衆像)
영산전은 이처럼 석가여래와 다보여래가 함께 임하고 있는 영산도량이다. 영산정토의 법회는 엄숙하여 그 모임이 아직가지도 흩어지지 않고 석가여래의 설법이 계속되고 있다고 하여 영산일회연미산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견보탑품변상도가 있는 통도사 영산전은 지금도 석가여래의 설법과 다보여래의 증명이 계속되고 있는 영산법회의 장소인 것이다.
▲보살성중상(菩薩聖衆像)
<2010. 9. 24>
'◈한국문화순례◈ > 낙남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옥련암 (0) | 2010.10.12 |
---|---|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서운암 (0) | 2010.10.12 |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반야용선도(般若龍船圖) (0) | 2010.10.11 |
김해 출토 돌검(磨製石劍) (0) | 2010.07.23 |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오층석탑 (0) | 2010.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