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릉 서오릉 - 고양 익릉
익릉은 조선 19대 숙종의 원비 인경왕후 김씨의 능이다. 인경왕후는 광성부원군 김만기의 딸로 현종 12년(1671)에 세자빈이 되었으며, 숙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왕비가 되었다. 숙종 6년에 경희궁 회상전에서 20세에 돌아가셨다. 인경왕후는 고조부가 김장생이고 조부는 김익겸,아버지가 김민기로 명문집안 출신이다. 게다가 김장생의 제자가 송시열이니 기호학파의 대표적 명문이다. 골수 사대주의자 송시열이 왕과 버금가는 권력을 가지고 기세등등하던 시절에 조성된 능이다.
익릉은 서오릉에서 가장 화려하고 당당한 능이다. 익릉의 봉분은 병풍석은 생략하고 난간석을 둘렀으며, 다른 왕릉과는 조금 다르게 석주가 아닌 동자석 상단부에 심이간지를 글자로 새겨 넣었다. 정자각은 능침 언덕 아래에 있다. 현종의 숭릉 정자각과 같이 당시 유행하던 익랑이 딸려 있다. 이처럼 정자각 양쪽 측면에 기둥을 세우고 5칸짜리 정자각을 만든 것은 현종의 숭릉이 처음이고 익릉이 그 다음이다. 정자각과 홍살문 사이의 참도는 직선으로 경사가 졌으며, 참도 중간에 계단을 두어 지형에 맞춰 설치하였다. 홍살문도 지아비의 능인 명릉보다 훨씬 크고 화려하다.
朝鮮國
仁敬王后翼陵
光烈仁敬王后金氏 肅宗大王元妃辛丑九月三日誕生辛亥冊世子嬪甲寅進封王妃庚申十月二十六日昇遐辛酉二月二十二日葬在明陵北岡丑坐之原壽二十
광렬인경왕후김씨 숙종대왕원비 신축년(1661) 9월 3일 탄생. 신해년(1671)에 왕세자빈으로 책봉되었다. 갑인년(1674) 왕비로 진봉되었으며, 경신년(1680) 10월 26일 승하하였다. 신유년(1681) 2월 22일 명릉 붂쪽 언덕 북동쪽에 장사지냈으며, 수는 20세다.
▲익릉
▲익릉 전경
▲익릉 전경
▲참도
▲정자각
▲수복청
▲수복청
▲수복청
▲비각
▲비각
▲인경왕후비
▲인경왕후비
▲정자각
▲정자각
▲정자각
▲사초지
▲사초지
▲사초지
▲사초지
▲산신제석
▲소대
▲봉분
▲봉분
▲봉분
▲장명등
▲장명등 문양
▲장명등 문양
▲망주석
▲망주석 세호
▲무인석
▲무인석
▲문인석
▲문인석
▲곡장
<2014. 2. 23>
'◈한국문화순례◈ > 한북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왕릉 서삼릉 - 고양 희릉 (0) | 2014.03.28 |
---|---|
조선왕릉 서삼릉 - 고양 예릉 (0) | 2014.03.27 |
조선왕릉 서오릉 - 고양 명릉 인원왕후릉 (0) | 2014.03.25 |
조선왕릉 서오릉 - 고양 명릉 숙종대왕릉·인현왕후릉 (0) | 2014.03.24 |
고양 벽제관터 (0) | 2014.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