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황복사 금제여래좌상 경주 황복사 금제여래좌상 <국립중앙박물관> 황복사터 삼층석탑 사리함의 명문에 의하면 신라 31대 신문왕이 692년에 돌아가시자 아들 효소왕이 신문왕을 위하여 삼층석탑을 세웠고, 그 뒤 700년에 효소왕이 돌아가시니 성덕왕이 706년에 신문왕을 위하여 삼층석탑에 불사리와 대다리니경, 그리고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07.26
경주 황복사 금제여래입상 경주 황복사터 금제여래입상 <국립중앙박물관> 황복사터 삼층석탑에서 나온 금제 불상으로 금동 사리함에 적힌 명문에 의하면 692년에 효소왕이 사리함을 넣어 이 석탑을 건립하였다고 하여 692년 석탑을 건립할 때 함께 만들어 넣었던 불상인 것이다. 순금으로 만들었고 전체 높이는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07.26
경주 삼기산 금곡사 원광법사 부도 경주 삼기산(三岐山) 금곡사(金谷寺) 원광법사 부도 안강에서 영천으로 이어지는 28번 국도를 타고 가다 두류리에서 남쪽으로 기수를 돌려 약 6km 정도 들어가면 삼기산이 나오고 깊은 첩첩산중에 금곡사라는 작은 절이 있고 이곳에 신라시대의 원광법사의 부도라고 전해오는 석탑 1기가 있다. 일연스..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07.07
경주 남산 천동골 천동탑 경주 남산 천동골 천동탑 천동탑이 있어 천동골이라 부른다. 그런데 이제는 천동탑이 천동골에 있다고 한다. 천동탑은 높이 2m정도의 돌기둥에 100개 정도의 감실이 파여져 있는 특이한 탑이다. 일반적으로 천동탑이라고 부르지만 비슷한 예가 없는 유물인지라 탑이라고 확신하기도 어렵다. 통일신라..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07.06
경주 남산 오산골 염불사터 경주 남산 오산골 염불사터 오산골 입구 남산 기슭에 동서로 돌무더기가 흩어져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그냥 돌무더기가 아니라 석탑의 부재들이다. 동쪽에 한무더기 그리고 서쪽에 한무더기 동서로 세워졌던 쌍탑의 흔적이다. 이곳이 바로 삼국유사에 나오는 염불사터이다. 남산의 동쪽 기슭에 피리..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07.05
경주 장사 벌지지 경주 장사 벌지지 망덕사터 남쪽에는 남천이 유유히 흐르고 남천 백사장이 은빛을 발하고 있다. 남천 제방 한쪽에 '장사 벌지지'라는 비가 서 있으니 바로 신라의 충신 박제상의 부인 국대부인이 남편을 왜국으로 떠나보내고 슬픔에 못이겨 목놓아 울었던 곳이다. 역시 삼국유사에 그 이야기가 전한다...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07.04
경주 망덕사터 경주 망덕사터 사천왕사터 남쪽 길건너 들판의 한 자락에 작은 숲이 보이고 그 사이에 당간지주며 건물의 초석들이 흩어져 있다. 망덕사터다. 사천왕사를 지어 당의 침략을 물리쳤다는 이야기는 망덕사로 이어진다. 다시 삼국유사의 문호왕 법민조를 읽어보자. 신미년(671)에 당나라는 다시 조헌(趙憲)..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07.03
경주 남산 탑골 부처바위 경주 남산 탑골 부처바위 높이 약 9m, 둘레 약 30m 되는 거대한 바위 사면에 불보살과 천인 및 승려상을 얕은 부조로 새겨 사방사불정토(四方四佛淨土)를 나타내었다. 일제시대 오사까 긴따로(大坂金太郞)은 이곳에서 「신인사(神印寺)」명문와(名文瓦)를 발견했다고 하나 현재 전하지는 않는다. 북면에..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06.29
경주 남산 탑골 옥룡암 경주 남산 탑골 옥룡암 남산의 탑골 부처바위로 가는 길에 옥룡암이 있다. 사철 맑은 물이 흐르는 이곳은 단풍나무의 풍광이 가히 절경이다. 가을에 단풍이 붉게 물들면 그 깊이를 더해준다. 옥룡암에는 서로 다른 두기의 폐탑을 모아서 하나의 탑으로 쌓아놓은 삼층석탑이 하나 있다. 그런데 이 탑에..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06.28
경주 남산 전경애왕릉 경주 남산 삿갓골 전경애왕릉 삼릉 옆 계곡 건너 송림 속에 신라 55대왕이자 박씨의 마지막 왕인 경애왕의 능이라고 전하는 능이 있다. 삼릉에 가까이 있으면서 혼자 있는 까닭으로 독릉(獨陵)이라고도 부른다. 경애왕은 포석정에서 견훤의 군대에게 습격당하여 비운의 죽음을 당한 왕이다. 능은 신라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