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옥산마을 독락당 경주 옥산마을 독락당 옥산서원에서 서북쪽으로 약 700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독락당(獨樂堂)은 이름이 뜻하는 대로 회재 이언적이 중종 27년(1532) 중앙 정계에서 밀려나 이곳에서 은거하면서 살던 집의 사랑채의 이름으로 옥산정사(玉山精舍)라고도 한다. ‘독락당’ 편액은 선조때 영의정을 지낸 아계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11.12
경주 월지 출토 사자상 경주 월지 출토 사자상 <국립경주박물관> 향로 뚜껑용 사자상은 뚜껑 위에 당당한 모습으로 앉았는데 뚜껑 바닥에 토와 입이 서로 토하도록 구멍을 뚫어 두었다. 이 공간으로 받침대 밑의 향로에서 나오는 연기가 코와 입을 통하게 되어 있다. 납석제 사자상은 갈기가 섬세하게 표현되어있다. *향..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11.05
경주 월지 출토 '의봉4년개토(儀鳳四年皆土)'명 암키와 경주 월지 '의봉4년개토(儀鳳四年皆土)'명 암키와 <국립경주박물관> '의봉4년(儀鳳四年)'은 679년이라는 제작년대를 확실하게 알 수 있어 기와의 편년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된다. 문무왕 19년(679에 동궁을 세웠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으로 보아 동궁 창건에 사용되었던 기와로 추정된다. *암키와..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11.04
경주 월지 출토 토제 풍로와 시루 경주 월지 출토 토제 풍로와 시루 <국립경주박물관> 토제풍로는 화구(火口)와 연통(煙筒)을 갖춘 것으로 윗쪽에는 다른 그릇을 걸어 끓일 수 있도록 크고 작은 2개의 둥근 구멍이 뚫려있다. 화구에는 바깥 주연에 점토대(粘土帶)의 띠를 덧붙여 화력의 소모를 막았으며, 풍로 안쪽과 천정부에는 불..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11.03
경주 월지 출토 금동용머리장식 경주 월지 출토 금동용머리장식 <국립경주박물관> 의자의 손잡이 장식으로 추정되는 장식품으로 한 쌍이 월지에서 출토되었다. 제작시기는 8~9세기로 추정한다. 길이는 16.4cm이다. <2006. 10. 25>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11.03
경주 흥덕왕릉 비편(碑片) 경주 흥덕왕릉 비편(碑片) <국립경주박물관> 흥덕왕릉의 주변에서는 그동안 많은 수량의 조각(碑片)들이 발견되었다. 그 가운데에는 '흥덕(興德)'이라고 새겨진 전액(篆額)조각이 발견되어 피장자(被葬者)를 확실히 알 수 있는 왕릉 중의 하나이다. 흥덕왕릉의 조각으로는 60여편 발견되었는데 비문..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11.02
경주 석굴암 금강역사상 얼굴 경주 석굴암 금강역사상 얼굴 <국립경주박물관> 금강역사는 인왕(仁王), 이왕(二王), 집금강신(執金剛神) 등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본래 인도의 재래신인 문을 지키는 야차신(夜叉神)이 불교에 받아들여져 부처님을 수호하는 신장(神將)의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이 금강역사상의 머리는..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11.02
경주 인왕동 석조여래좌상 경주 인왕동 출토 석조여래좌상 <국립경주박물관> 이 불상은 전체 높이가 91cm밖에 되지 않는 소형으로, 확실한 발견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머리는 소발에 낮고 넓은 육계가 얹혀 있으며 귀는 길어서 어깨까지 닿았고 눈은 마치 명상을 하는 듯하다. 코는 약간 손상을 입었으나 오똑한 편이며 목..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11.01
경주 황성동 석실분 토용 경주 황성동 석실분 출토 토용(土俑) <국립중앙박물관> 마을에서 말무덤이라 전해오던 것으로 아파트 건립을 위한 부지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유구가 파괴 노출되어 조사된 황성동 석실분에서 출토된 인물 토용 중의 하나이다. 호모(胡帽)를 쓴 남자상인데, 복두를 쓴 또 다른 남자상, 그리고 여인..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11.01
경주 석장동 출토 사리공양석상 경주 석장동 출토 사리공양석상 <국립경주박물관> 둥근 돌기둥에 사리를 공양하는 장면을 새긴 것으로 당시의 사리공양 의식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중앙에 침상이 있고 시트 같은 밭침 위에 연꽃 받침을 놓고 그 위에 유리잔을 놓았으며, 유리잔 안에는 캇트글라스 기법으로 된 둥근 무늬..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