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숭혜전 소장 경순왕 어진 경주 숭혜전 소장 경순왕 어진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어진(御眞·임금의 초상), 삼국 통일신라시대의 유일한 어진. 통일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어진이다. 경순왕의 어진을 처음 제작한 것은 통일신라가 멸망한 직후인 고려 초. 경순왕을 추모하기 위해 그린 이 어진은 강원 원주시 고..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2.12
삼릉 가는 길 - 경주 월정교 삼릉 가는 길 - 경주 월정교 월정교가 복원되었다. 완전 복원이 아닌 부분 복원이지만 1300여년 전의 모습을 볼 수 있게 되어 무척 반갑다. 2008년부터 5년간 경주역사도시조성 사업으로 월성 남쪽 신라궁성의 통로인 월정교 복원 사업을 추진하여 지난해 1차 준공을 하였다. 월정교는 1984년..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1.23
경주 전김유신묘 납석제십이지신상 경주 전김유신묘 납석제십이지신상 십이지상 - 돼지, 8세기 이 십이지신상은 김유신장군 묘라고 전해오는 무덤의 둘레에서 출토된 것이다. 십이지신상 가운데 돼지상을 비롯하여 말상과 토끼상의 파편이 더 나왔다. 맷돼지 머리에 사람 몸을 하고 있는 이 돼지상은 갑옷을 입고 오른손에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1.22
전불시대칠처가람지허 - 경주 황룡사터 치미 전불시대칠처가람지허 - 경주 황룡사터 치미 황룡사터에서 출토된 치미는 황룡사의 당시 위용을 잘 드러내고 있다. 치미는 지붕 꼭대기 용마루의 양끝을 장식하는 대형 특수기와를 말하는데 망새라고도 한다. 치미는 복을 기원하고 액운을 쫓기 귀해 상상의 새인 봉황의 날개와 깃을 형..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1.21
경주 황남대총 은관모 경주 황남대총 은관모 5세기, 銀製冠帽 은관모는 금관모에 비하여 한단계 낮은 계급이 착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모양과 착용방법, 제작방법은 금관모와 유사하다. ▲은관모 ▲은관모(부분) <2013. 1. 5>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1.20
경주 천마총 금관모 경주 천마총 금관모 6세기, 17.6cm×17.2cm 금제관모는 T자형과 곱은옥 모양 당초무늬 등을 맞새김한 얇은 금판 여러 장을 붙여 만든 것으로 크기로 보아 헝겊이나 가죽 등으로 된 모자 위에 부착하여 사용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금관, 관식등과 같이 한 세트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으..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1.19
경주 교동 금관 경주 교동 금관 경주시 교동(校洞)의 폐고분(廢古墳)에서 도굴된 것을 압수한 금관(金冠)으로, 신라 금관의 초기 모습을 잘 보여준는 대표적인 예이다. 5세기대 전성기에 해당하는 신라 금관은 둥근 테[臺輪]에 사슴뿔모양 세움장식을 두 군데 배치하고, 나뭇가지모양 장식[出字形立飾]을 3..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1.18
경주 서봉총 로만 글라스 유리잔 경주 서봉총 로만 글라스 유리잔 5세기, 로만 글라스 한국 고대사는 중국과 실크로드를 빼고서는 생각할 수 없다. 실크로드는 중국 서안을 종점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신라의 경주에서 끝이난다. 그리고 그것은 배를 타고 일본 교토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사실은 신라의 고도 경주와 일본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1.17
경주 월지 금동귀면문고리(金銅鬼面文門扉環) 경주 월지 금동귀면문고리(金銅鬼面文門扉環) 8~9세기, 길이 10.4cm 통일신라시대의 문고리이다. 귀면이 입으로 문고리를 물고 있는 모습이다. 귀면의 얼굴표정이 함부로 문을 열지 말라는 주인의 의지가 베어있는 듯하다. ▲금동귀면문고리 ▲금동귀면문고리 <2013. 1. 5>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1.16
경주 양남 파도소리길 경주 양남 파도소리길 제주 올레길이 유명세를 타면서 전국 곳곳에 새로운 길 개발에 붐이 일어났다. 파도소리길은 경주 양남면의 읍천항에서 하서항 까지 이어지는 1.7km의 해안산책길이다. 곳곳에 주상절리가 눈길을 끌고 아름다운 갯바위들이 올레꾼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누워있는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