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맛비를 맞으며 연꽃이 피어나다 장맛비를 맞으며 연꽃이 피어나다 안압지 연밭에 연꽃이 말발하였다. 벌써 피었다가 꽃은 지고 연밥만 남은 것에서부터 활짝 만개한 연꽃, 붉은 봉우리를 터트리기 직전의 것까지 갖가지로 예쁘기도 하다. 연꽃은 순결, 군자, 신성, 청정이라는 꽃말과 같이 진흙탕에 피어나면서도 아름다..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7.08
신라왕릉 가는 길 - 경주 신당리 신라고분 신라왕릉 가는 길 - 경주 신당리 신라고분 경주 신당리에서 왕릉급에 속하는 통일신라시대 호석(護石)을 두른 석실분(石室墳)이 발견됐다. 이 무덤은 그것이 자리 잡은 위치나 구조, 그리고 크기 등에서 경주시 내남면 망성리에 위치하는 통일신라말 전민애왕릉과 여러모로 흡사하다. 원..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4.23
경주 성덕왕릉 십이지신상 경주 성덕왕릉 십이지신상 성덕왕릉의 십이지신상은 모두 환조로 방형 기단 위에 무복을 입고 무기를 들고 서 있으며 심하게 파손되었다. 완전한 모습의 원숭이상(申像)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져 전시되고 있으며 신상의 자리에는 말상(午像)의 파편이 놓여 있다. ▲쥐상(子像)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3.12
정월대보름 달집 태우기 - 경주 서천둔치 정월대보름 달집 태우기 - 경주 서천둔치 ▲달집 ▲씨불 ▲고유제 ▲만사형통 ▲만사형통 ▲만사형통 ▲달집태우기 ▲달집태우기 ▲달집태우기 ▲달집태우기 ▲달집태우기 ▲달집태우기 ▲달집태우기 ▲달집태우기 ▲달집태우기 ▲달집태우기 ▲달집태우기 ▲달집태우기 ▲달집태우..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3.11
남산신성 순례 - 경주 남산신성 북문터 남산신성 순례 - 경주 남산신성 북문터 문지는 체성벽의 축조상태와 기와편의 노출유무 그리고 현 지형 등을 고려해 볼 때, 동, 서, 남, 북문을 비롯하여 남동. 남서에 문지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 중 왕성인 월성과 가장 가까이 있으면서 창고지로 통하는 북문은 가장 규모가 크고,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3.10
남산순례 - 경주 남산 장창골 미륵삼존불 출토지 남산순례 - 경주 남산 장창골 미륵삼존불 출토지 경주박물관의 불교미술실에 전시된 장창골 출토 석조미륵삼존불이 발견된 곳은 남산 장창골 고개마루에 있다. 이곳에서 더 남쪽으로 가면 남산신성 북문터가 나온다. 현재 석불은 옮겨졌고 현장에서 석불의 석실을 이루던 세 개의 돌기둥..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2.17
남산순례 - 경주 남산 탑골 미완성마애불 남산순례 - 경주 남산 탑골 미완성마애불 탑곡에서 남산신성으로 올라가는 길 오른쪽 암벽에 미왕성 마애불이 있다. 불두부분은 둥글게 원이 그려져 있고 불신은 길게 입상을 새기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불신 아랫부분에는 사람의 얼굴형태를 닮은 선각 조각이 있고 반대편에는 가로줄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2.16
남산신성 순례 - 경주 남산신성 장창터 서창 남산신성 순례 - 경주 남산신성 장창터 서창 서창은 해목령에서 북쪽으로 500m 내려온 능선에 위치한다. 장창지중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여 사방을 조망 할 수 있는 곳이지만 규모는 가장 크다. 민묘2기와 토사에 덮혀 구체적 규모의 파악은 어려우나 정면 16칸, 측면 5칸이다. 현재 서창지는..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2.15
남산신성 순례 - 경주 남산신성 장창터 동창 남산신성 순례 - 경주 남산신성 장창터 동창 동창은 3개의 창고 중 가장 지형이 낮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장축이 동-서방향으로 정면 17칸(48m), 측면 5칸(15m)의 장방형 건물로 초석은 비교적 정연히 남아 있다. 기단석은 장방형의 화강암으로 잘 다듬었으며, 높이 30㎝ 정도의 단을 쌓았다.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2.14
남산신성 순례 - 경주 남산신성 장창터 중창 남산신성 순례 - 경주 남산신성 장창터 중창 중창지는 동. 서창지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좌창지에서 서쪽으로 약 100m 위치한 언덕 위에 있다. 3개의 창고 중 가장 결실이 심해 정확한 규모를 확인 할 수 없다. 방형초석 10여개만이 노출 되어 있으며, 초석크기는 70×72㎝이다. 또한 축대..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