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감은사터 삼층석탑 야경 경주 감은사터 삼층석탑 야경 감은사 삼층석탑을 다시 찾았다. 어둠이 내린 감은사에는 탑을 비추는 조명등이 빛나고 있었다. 낮에 보는 것보다 한층 더 우람한 모습을 하고 있었다. 문무왕의 삼국통일의 정신과 힘이 그대로 탑의 힘찬 모습에 담겨 있다고 한다. ▲동서삼층석탑 ▲서삼층..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1.13
고운 최치원 - 경주 낭산 독서당 고운 최치원 - 경주 낭산 독서당 낭산 중턱에 독서당이 있다. 독서당은 신라 말기의 학자 고운 최치원이 글을 읽던 곳으로 전한다. <동경통지> 궁실부, 정사 조에 "부의 동쪽 배반 낭산 위에 있는데 최치원의 독서당이다. 웨손된 것을 후손이 보수하여 지금도 평야를 내려다보고 익연(..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1.12
고운 최치원 - 경주 남산 상서장 고운 최치원 - 경주 남산 상서장 신라시대 당나라로 12살의 어린 나이에 조기 유학을 떠났던 최치원. 당시 아시아는 당이라는 선진 문명의 나라를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었고 최치원은 그 선진문화의 현장을 찾아가 급제한 불세출의 인물이었다. 857년 경주 사량부에서 태어난 학자이자 문..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1.11
고운 최치원 사산비명 - 경주 숭복사비편 고운 최치원 사산비명 - 경주 숭복사비편 통일신라(896년) 숭복사비는 896년(진성여왕 10)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것이다. 비의 모습이나 탁본도 전혀 전하지 않는다. 조선시대에 서산대사의 제자인 해안(海眼)이 최치원(崔致遠)의 문집에서 4개의 비문을 뽑아 사산비명(四山碑銘)이라고 불렀..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3.01.04
남산신성 순례 - 경주 남산신성 남산신성 순례 - 경주 남산신성 남산에는 불교유적이 많기도 하지만 국방관계유적도 상당히 많다. 도당산에 있는 도당산토성이나 남산에 있는 남산토성, 남산신성, 고허성 이렇게 네개 소에 궁성인 월성을 방위하기 위하여 산성이 포진되어 있다. 남산은 국방적인 성격도 아주 강하게 띄..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2.12.30
남산순례 - 경주 남산 왕정골 절터 남산순례 - 경주 남산 왕정골 절터 왕정골은 도당산(일명 장두산 102m)을 왼쪽으로 끼고 흘러내려 남천으로 흘러드는 계곡이다. 반월성을 마주보면서 남천으로 흘러드는 이 왕정골은 경주시내에서 가장 가깝게 위치해 있으며 그 길이도 매우 짧아 600m정도밖에 안된다. 옛날 신라시대에 궁..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2.12.30
남산순례 - 경주 남산 천관사터 출토 팔부신중상 남산순례 - 경주 남산 천관사터 출토 팔부신중상<국립경주박물관> 천관사터에서 옮겨온 팔부신중상은 가루라상(迦樓羅像)이다. 고대 인도에서 가루라는 상상의 새인데 이를 형상화하기 위해 입을 부리처럼 표현하였다. ▲팔부신중상 ▲팔부신중상(얼굴) <2012. 11. 17>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2.12.29
남산순례 - 경주 남산 창림사터 출토 팔부신중상 남산순례 - 경주 남산 창림사터 출토 팔부신중상<국립경주박물관> 창림사터에서 옮겨온 팔부신중상은 얼굴이 셋 달린 것으로 미루어 긴나라(緊那羅)로 추정되는데 긴나라는 사람인지 짐승인지 또는 새인지 일정하지 않고 노래하고 춤추는 존재이다 ▲팔부신중상 ▲팔부신중상 얼굴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2.12.29
남산순례 - 경주 남산 장창골 출토 석조미륵삼존불 남산순례 - 경주 남산 장창골 출토 석조미륵삼존불 <국립경주박물관> 1924년 경주 남산 장창골 한 석실에서 발견되어, 그 이듬해 박물관으로 옮겨온 불상이다. 삼화령 미륵삼존불이라고도 부르는데 그 까닭은 삼국유사 '생의사석미륵'조에 전한다. 선덕여왕 때 중 생의는 언제나 도중..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2.12.28
경주 인왕동 출토 석조여래좌상 경주 인왕동 출토 석조불좌상<국립경주박물관> 7세기 전반 이 불상은 인왕동 불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인왕동은 국립경주박물관 부근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정확한 발견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보통 불상의 손모양으로 불상의 존명을 알 수 있는데 손가락 끝이 하늘을 향한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2.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