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팔공산 염불암 마애여래좌상 대구 팔공산 염불암 마애여래좌상 마애불좌상과 보살상을 보기 위해 염불암에 오른다. 염불암 경내의 마애불은 불보살의 구성이 독특하다. 삼각형 바위 양면에 서북향의 불상과 남서향의 보살상을 나란히 새겼다. 서북향의 마애불좌상은 양손을 배 앞에 모은 아미타구품인의 자세로, 엄..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1.10.30
대구 팔공산 염불암 청석탑 대구 팔공산 염불암 청석탑 극락전 앞에는 마애불보다 앞선 신라 후기의 흑색 점판암으로 쌓은 작은 칠층석탑이 배치되어 있다. 청석탑이란 벼루를 만들던 흑색 점판암으로 만든 탑이다. 지대석은 화강암으로 처리하였고 그 외에는 모두 점판암을 사용했다. 원래의 위치에 남아있지만 현..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1.10.29
대구 팔공산 염불암 대구 팔공산 염불암 염불암은 대구의 진산인 팔공산의 동봉과 서봉의 등산로를 따라 걸어 올라가는 동화사의 산내 암자이다. 팔공산의 정상 동봉, 염불봉, 병풍바위 등 팔공산 봉우리들에 둘러쌓여 은둔해 있는 형상이다. 염불암에는 마애아미타여래와 마애관음보살상 아래에 극..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1.10.28
대구 팔공산 부도암 승탑 대구 팔공산 부도암 승탑 부도암을 지나 염불암 가는 길가에 승탑 한기가 서 있다. 부도암 승탑은 바닥돌과 몸돌, 지붕돌을 갖춘 팔강원당형 승탑으로 크기는 작다. 팔각원당형 승탑은 통일신라시대부터 유행한 승탑양식이다. 부재의 구성이 잔조롭고 지붕돌의 모서리가 없어졌으..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1.10.27
대구 팔공산 동화사 마애여래좌상 대구 팔공산 동화사 마애여래좌상 동화사 일주문 오른쪽 암벽에 북서쪽을 향한 마애불이 앉아있다. 항마촉지인 수인을 하고 암벽의 높은 곳에 앉아있다. 항마촉지인은 석가모니가 6년의 고행을 끝내고 중인도 부다가야의 강변 보리수 아래에서 성도하였을 때의 자세이다. 옷은 양쪽 어개를 모두 덮은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1.10.26
영천 거조암 영산전 오백나한상 영천 거조암 영산전 오백나한상 거조암은 팔공산 은혜사의 산내암자이다. 거조암에는 국보로 지정된 고려시대 목조건물인 영산전이 있고 영산전에는 석조 오백나한상이 모셔져있다. 흔히 오백나한상이라 하지만 실제로는 526분의 나한이 계신다. 526분이나 되는 많은 조각을 모셨음에도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1.05.22
영천 선원리 연정(蓮亭) 영천 선원리 연정(蓮亭) 연정은 정용준 가옥의 정자이다. 본채와 50여m 덜어진 냇가에 자리하고 있어 정용준 가옥을 찾아가면 연정을 먼저 만나게 된다. 건축 직후 옆의 연못에서 저절로 연꽃이 피어나 연정이라고 편액하였다고 한다. 여름 연꽃이 아름답게 필 때 다시 와야겠다. 서쪽온돌방은 칸반이고..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1.04.30
영천 선원리 정용준 가옥 영천 선원리 정용준 가옥 정용준 가옥은 그의 8대조가 조선 영조 원년(1725)에 건축한 것으로 본채와 정자로 구성되어 있다. 본채는 사랑채와 문간채가 一자형으로 합쳐 있고 문을 들러서면 ㄱ자형 평면의 안채와 곳간채, 그리고 아래채가 있어 전체적으로 口자형 평면을 이루고 있다. 안채는 방주와 납..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1.04.29
영천 선원리 함계정사(涵溪精舍) 영천 선원리 함계정사(涵溪精舍) 함계정사는 임진왜란 때 영천 의병장 호수 정세아 선생의 현손인 정석달(1660~1720) 선생이 숙종 28년(1702)에 학문을 강학하기 위하여 정자 건립을 시도하였으나 재력이 부족하여 우선 소재(小齋)를 지은 것이 안락재이다. 그후 정조 3년(1779) 선생의 손자 일찬(1724~1797)공이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1.04.28
영천 정각리 삼층석탑 영천 정각리 삼층석탑 청정 미나리로 유명한 연천 정각리 보현산 천문대가 아득히 바라다 보이는 보현산 기슭 언덕배기에 아담한 삼층석탑이 서 있다. 이 탑은 이중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린 높이 3.8m의 고려시대 석탑이다. 본래 기단부를 포함한 탑 전체가 기울어져 있었고, 3층 지붕돌은 땅에 덜어..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1.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