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탑순례 -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塼塔) 전탑순례 -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塼塔) 송림사 오층전탑은 금당 남쪽 평탄한 대지 위에 위치하며, 주위에 장대석으로 둘러쌓은 토축기단 위에 세워진 5층전탑이다. 또 한 이 탑은 거의 완전한 높이 4.51m의 동제 상륜부를 지니고 있어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과 더불어 상륜부가 남아있는 희귀한 예이다.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9.10.19
대구 동화사 약왕보살좌상 대구 동화사 약왕보살좌상 <국립대구박물관> 약왕보살藥王普薩은 중생에게 좋은 약을 주어 몸과 마음의 병고를 덜어주는 보살이다. ▲약왕보살좌상 <2009. 7. 25>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9.08.11
대구 동화사 영산전 석조 16나한상 대구 동화사 영산전 석조 16나한상 <국립대구박물관> ▲나한상(조선, 1800년 추정) ▲나한상(조선, 1800년 추정) <2009. 7. 25>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9.08.11
대구 동화사 의식구(儀式具) 대구 동화사 의식구(儀式具) <국립대구박물관특별전> ▲부월모양의식구(斧鉞形儀式具, 조선후기) ▲봉황깃모양의식구(鳳翼儀式具, 조선후기) ▲봉황깃모양의식구(鳳翼儀式具, 조선후기) ▲부채모양의식구(扇形儀式具, 조선후기) ▲용모양의식구(龍形儀式具, 조선후기) ▲연꽃모양의식구(蓮花形..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9.08.11
대구 동화사 불ㆍ법ㆍ승보패(佛ㆍ法ㆍ僧寶牌) 대구 동화사 불ㆍ법ㆍ승보패(佛ㆍ法ㆍ僧寶牌) <국립대구박물관특별전> ▲불보패(南無眞如佛寶, 조선후기) ▲법보패(南無甚深法寶, 조선후기) ▲승보패(南無淸淨僧寶, 조선후기) <2009. 7. 25>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9.08.10
대구 동화사 전패(殿牌) 대구 동화사 전패(殿牌) <국립대구박물관특별전> 주상전하의 장수를 기원하기 위해 만든 전패이다. 조선 후기 사찰에서는 의식을 행하거나, 예배를 드릴 때 삼전三殿(왕, 왕비, 세자)의 만수무강을 비는 전패 세 점을 불단에 모셔두곤 했다. ▲전패(殿牌, 主上殿下壽萬歲, 조선후기) <2009. 7. 25>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9.08.10
대구 동화사 업경(業鏡) 대구 동화사 업경(業鏡) <국립대구박물관특별전> 지옥에 온 망자亡者는 염라대왕 앞에서 생전에 지은 업보에 따라 여러 등급의 지옥에 보내진다. 업경은 염라대왕이 생전의업보를 확인시켜주는 거울이다. ▲업경(業鏡, 淸章堂 汶湜, 조선 1725년) <2009. 7. 25>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9.08.10
대구 동화사 독성도 대구 동화사 독성도 <국립대구박물관특별전> 독성獨聖은 스승 없이 혼자 깨달음을 얻은 성자聖者를 일컽는 말로, 나반존자라고도 한다. 나무, 구름, 폭포 등을 배경으로 석장이나 염주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독성도獨聖圖(允一 외, 대한제국 1905) <2009. 7. 25>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9.08.09
대구 동화사 지장보살도 대구 동화사 지장보살도 <국립대구박물관특별전> 임진왜란, 병자호란 같은 큰 전쟁으로 조선의 민중들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날로 늘어났으며, 이로 인해 지옥의 고통으로부터 구제하여 극락정토로 인도해주는 지장보살신앙이 크게 유행했다.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협시인 도명존자와..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9.08.09
대구 동화사 '桐藪彌勒堂'명 기와 대구 동화사 '桐藪彌勒堂'명 기와 <국립대구박물관특별전> 대구 용수동 와요지 발굴조사에서 총 9점이 출토되었다. '동수미륵당桐藪彌勒堂'이라는 명문은 암수기와에서 모두 확인되며 중앙에 도장을 찍어 나타내었다. '동수桐藪'는 동화사의 다른 이름으로 동화사 미륵당에서 사용하던 기와가 용..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9.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