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독국의 흔적 - 경산 조영동 고분 큰항아리 압독국의 흔적 - 경산 조영동 고분 큰항아리 <경산시립박물관> 大壺 조영EⅢ-2호분 딸린돌널 영남대학교박물관 소장 지금까지의 고고학적 자료나 문헌사학계의 연구에 의하면 압독국은 4세기 경 신라에 복속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엄밀히 말하면 4세기 이후는 압독국이 아니라 압..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2.08.13
대구 무술오작비 대구 무술오작비 <국립경주박물관특별전> 오작비(塢作碑)는 1946년 대구시 대안동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가 7, 8년 동안이나 행방을 알 수가 없었는데, 그 후 다시 경북대학교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처음 발견된 대안동(大安洞)은 대구시(大邱市)의 거의 중앙인데, 이 지점이 곧 건립 당시..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2.03.13
경산 선화리 신라병영유적 경산 선화리 신라병영유적 내리 병영유적에서 약 3km 가량 떨어진 구릉에 위치하며 경산시 진량읍 선화리에 있는 제3연병장도 압량벌을 조망할 수 있는 야트막한 구릉 선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구릉 말단부에 높이 10m 토축의 원형광장(지름 80m)을 구축하고 그 북쪽에 치우쳐 높이 2m..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2.01.28
경산 내리 신라병영유적 경산 내리 신라병영유적 압량리 병영유적으로부터 하천이 흐르는 저지대를 건너 약 1.5km 가량 떨어져 있는 내리 병영유적은 두룩산의 서북쪽에서 동남쪽으로 향한 구릉의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압량벌을 조망할 수 있는 야트막한 丘陵 선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구릉 자연면에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2.01.27
경산 압량리 신라병영유적 경산 압량리 신라병영유적 102년 신라에 멸망한 압독(押督) 또는 압량 소국이 있었다고 전하는 현재의 경산시 압량면에는 압량리 ·내리 ·선화리 등 3개소에 각기 비슷한 형태를 이룬 소규모의 토성들이 남아 있다. 신라의 김유신장군이 압량주 군주로 있을 당시 백제를 공략하고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2.01.26
대구 도동 출토 금동약사불입상 대구 도동 출토 금동약사불입상 <국립대구박물관> ▲금동약사불입상(통일신라, 8세기) <2011. 11. 12>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2.01.21
청도 출토 금동보살입상 청도 출토 금동보살입상 <국립대구박물관> ▲금동보살입상(통일신라, 8세기) <2011. 11. 12>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2.01.21
칠곡 출토 금동불입상 칠곡 출토 금동불입상 <국립대구박물관> ▲금동불입상(통일신라, 8세기 후반) <2011. 11. 12>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2.01.21
영천 화남리 투구ㆍ목가리개ㆍ갑옷 영천 화남리 투구ㆍ목가리개ㆍ갑옷 <국립대구박물관특별전> ▲투구ㆍ목가리개ㆍ갑옷(胄ㆍ頸甲ㆍ札甲, 삼국시대) ▲투구(胄, 삼국시대) ▲목가리개(頸甲, 삼국시대) ▲갑옷(札甲, 삼국시대) <2011. 11. 12>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2.01.20
청도 화리 간돌칼 청도 화리 간돌칼 <국립대구박물관특별전> ▲간돌칼(磨製石劍, 청동기시대) ▲간돌칼(磨製石劍, 청동기시대) ▲간돌칼(磨製石劍, 청동기시대) <2011. 11. 12>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