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팔공산 선본사 삼층석탑 경산 팔공산 선본사 삼층석탑 선본사는 신라 소지왕 13년(491)에 극달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조선 인조 19년(1641)에 수청대사가 중창한 이래 여러차례 중건과 중수가 있었다. 석탑은 관봉석조여래좌상과 선본사 사이의 산 기슭 능선에 도괴되어 잇던 것을 1979년 12월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탑의 구..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1.03.04
백제의 관 - 대구 비산동 금동관(金銅冠) 백제의 관 - 대구 비산동 금동관(金銅冠) <국립공주박물관 특별전> 신라 5세기 대구 비산동 37호분 2석실 국립대구박물관 소장 ▲금동관(金銅冠) <2010. 10. 17>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0.11.17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 대구의 진산 팔공산의 동쪽에 솟은 관봉 정상에 석조여래좌상이 앉아계신다. 흔히 약사여래라고 불리는 이 부처님은 한가지 소원은 꼭 들어주신다는 속설이 있어 언제나 기도하는 사람들로 붐빈다. 특히 입시철이 되면 인산인해를 이룬다. 오늘은 비가 오고 안개가 낀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0.08.23
청도 예전리 요녕식 동검(遼寧式銅劍) 청도 예전리 요녕식 동검(遼寧式銅劍)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요녕식 동검(遼寧式銅劍, 청도기 시대) <2010. 7. 18>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0.07.22
청도 진라리 무문토기 청도 진라리 무문토기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무문토기(청동기시대) ▲무문토기(청동기시대) ▲무문토기(청동기시대) <2010. 7. 18>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0.07.20
청도 신당리 돌검(磨製石劍) 청도 신당리 돌검(磨製石劍)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돌검(磨製石劍, 청동기시대) ▲돌검자루 ▲칼날 <2010. 7. 18>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0.07.19
대구 달성 도동 측백수림 대구 달성 도동 측백수림 불로천의 상류지역에 해발 600미터 되는 향산이 있다. 이 향산의 북족에는 불로천이 흐르면서 높이 100미터, 길이 600미터에 이르는 절벽에 측백이 자생하고 있다. 이곳의 측백수림은 측백나무가 자랄 수 있는 남쪽 한계를 나타내므로 식물지리학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0.05.07
대구 옻골마을 최씨종가 대구 옻골마을 최씨종가 이 건물은 조선 인조 때의 학자인 대암 최동집이 광해군 8년(1616년) 옻골에 정착하면서 그의 손자인 최경함이 숙종 20년(1694년)에 건립한 것이다. 종가는 대구에 있는 조선시대 상류주택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이 종가는 안채와 사랑채, 재실, 가묘, 별묘 등 균형있게 조화..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0.05.06
대구 옻골마을 수구당(數咎堂) 대구 옻골마을 수구당(數咎堂) 수구당은 1724년 실학자인 백불암 최흥원 선생이 초호를 수구암으로 짓고 사랑채에 수구당의 현판을 걸고 게자를 가르치던 곳으로 그 후에 중건하였다. 사랑채와 안채가 홑처마 팔작지붕으로 2006년 4월 20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수구당(數咎堂) 골목길..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0.05.05
대구 옻골마을 최흥원정려각 대구 옻골마을 최흥원정려각 옻꼴마을은 경주최씨 집성촌으로 조선시대 사대부의 전형적인 양반가옥의 양식과 생활을 볼 수 있는 곳이다. 마을입구에 들어서면서 처음 만나는 최흥원 정려각은 1789년 정조대왕이 실학자인 백불암 최흥원 선생의 효행과 학행을 기리기 위하여 旌門을 세울 것을 명령하..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0.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