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신서동 쇠뿔손잡이항아리 대구 신서동 쇠뿔손잡이항아리 <국립대구박물관특별전> ▲쇠뿔손잡이항아리(삼한시대) <2011. 11. 12>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1.12.05
대구 신서동 굽다리접시 대구 신서동 굽다리접시 <국립대구박물관특별전> ▲굽다리접시(삼한시대) <2011. 11. 12>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1.12.05
대구 신서동 출토 독널(甕棺) 대구 신서동 출토 독널(甕棺) <국립대구박물관특별전> ▲독널(甕棺, 삼한시대) ▲독널(副甕) ▲막음독(副甕) ▲독널 출토모습 <2011. 11. 12>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1.12.04
대구 읍내동 마애불상군 - 선각구층탑 대구 읍내동 마애불상군 - 선각구층탑 선각구층탑은 2중기단 위에 9층의 탑신을 올렸다. 1층 탑신부는 높으나 2층부터는 매우 낮다. 옥개석은 매우 뚜렷하며 상륜부는 보주와 찰주가 표현되었다. ▲선각구층탑 ▲상륜부 ▲기단부 <2011. 10. 30>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1.11.26
대구 읍내동 마애불상군 - 선각삼존상ㆍ여래상 대구 읍내동 마애불상군 - 선각삼존상ㆍ여래상 마애여래좌상의 우측 두번째 면에는 윗면에 여래 삼존불이 있고 그 아래로 상하 2구씩 4구의 여래상이 새겨져 있다. 윗면의 삼존불은 입상인 본존 여래입상과 역시 입상인 좌우협시보살로 이루어져 있다. 본존여래입상은 높이 46cm로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1.11.25
대구 읍내동 마애불상군 - 반가삼존상ㆍ여래상 대구 읍내동 마애불상군 - 반가삼존상ㆍ여래상 반가삼존상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유일한 상이다. 중앙의 반가상은 높이 44cm로 연화대좌 위에 앉아있으며 머리에는 원형의 두광이 있고 좌우에 협시보살이 있다. 좌우 협시보살은 연화대좌를 갖춘 입상이며 원형의 두광이 있..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1.11.24
대구 읍내동 마애불상군 - 우협시보살상ㆍ속인상ㆍ여래상 대구 읍내동 마애불상군 - 우협시보살상ㆍ속인상ㆍ여래상 본존불의 우측에는 협시보살 1구와 속인 2구가 있다. 높이 128cm의 보살입상은 연화대좌를 갖추고 원형의 두광에 삼산보관을 쓰고있다. 보살상 오른쪽에는 승려상 2구가 있다. 높이 117cm의 공양승려상은 본존쪽을 향한 측면..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1.11.23
대구 읍내동 마애불상군 - 좌협시보살상ㆍ승려상ㆍ여래상 대구 읍내동 마애불상군 - 좌협시보살상ㆍ승려상ㆍ여래상 본존의 좌측에는 협시보살 1구와 승려상 2구가 조각되있다. 보살입상은 높이 130cm에 삼산보관을 쓰고 원형의 두광이 선명하다. 승려상은 높이 80cm로 입상이며 두고는 15cm정도이다. 승려상 상단에는 여래좌상 1구와 여래좌..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1.11.22
대구 읍내동 마애불상군 - 마애여래좌상 대구 읍내동 마애불상군 - 마애여래좌상 대구 읍내동 마애불상군(摩崖佛像群)은 단일 바위로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불상이 새겨진 삼국시대 조각으로 확인됐다. 지금까지 국내 최다 마애암각군은 29개의 불상이 새겨진 경주 남산 탑곡의 마애조상군(보물 201호)이었으나 대구의 마애암각..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1.11.21
대구 팔공산 염불암 마애보살좌상 대구 팔공산 염불암 마애보살좌상 마애불좌상의 격식과 근엄함에 비해 서남쪽의 보살상은 이목구비가 모아진 각진 얼굴이며 짧은 인중이 해학미마저 풍긴다. 관모 형태의 보관을 쓰고, 연꽃 가지를 양손에 든 관세음보살상이다. 익살맞은 표정과 손에 든 연꽃 그리고 관모의 모습..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1.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