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영남루 밀양 영남루 영남루는 진주의 촉석루, 평양의 부벽루와 함께 조선의 3대 누각의 하나이다. 영남루는 밀양도호부 객사의 부속건물로, 관원들이 손님을 접대하거나 주변 경피를 보면서 휴식을 취하던 곳이었다. 영남루는 신라 경덕왕 때 세워졌던 영남사가 폐사되고 흔적만 남은 자리에 고..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6.10.21
김해 신어산 동림사 김해 신어산 동림사(東林寺) 신어산 중턱 은하사의 동남쪽에 동림사가 있다. 동림사는 가락국 시조 김수로왕의 부인이 된 허황옥의 오빠인 그 장유화상이 창건한 절이 라고 한다. 지금의 은하사 자리에는 본래 서림사란 절이 있었다고 하는데 장유화상은 불교 발상국인 서역의 융성을 기원하기 위하여..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6.10.20
김해 신어산 은하사 김해 신어산(神魚山) 은하사(銀河寺) 신어산 중턱에 자리한 산지형 사찰인 은하사는 당초 서림사(西林寺)가 있었으나 가락국 수로왕 때 장유화상이 중창하고 은하사라 하였다 전한다. 서림사라는 사명은 바로 인근에 있는 동림사(東林寺)와 대비되어서 불려진 이름인 것으로 보인다. 지금도 은하사의 ..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6.10.19
김해 대성동 고분군 김해 대성동 고분군 대성동 고분군은 김해를 중심으로 했던 금관가야의 지배계층의 무덤이 함께한 집단묘역이다. 마을에서는 무덤으로 덮힌 이곳 구릉을 '애구지'라고 부르고 있는데, 무덤의 위치에 따라 그 시기가 다르다. 곧 2세기에서 6세기에 걸쳐 무덤이 형성되었다. 특히 가야국의 지배계층 묘로..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6.10.18
김해 구지봉(龜旨峯) 김해 구지봉(龜旨峯) 원래는 거북의 머리 모양을 닮았다하여 구수봉(龜首峯)이라 불렀다. 현 수로왕비릉이 있는 위치가 거북의 몸체이고 서쪽으로 내민 것이 거북 머리의 모양이다. 이곳은 신라 유리왕 19년(42)에 하늘에서 황금알이 내려와 김수로왕이 탄생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곳이다. 구지봉 정상..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6.10.18
김해 가락국 수로왕비릉 김해 가락국 수로왕비릉 구지봉 동쪽에 있는 이 능은 가락국 시조 수로왕의 비릉이라고 전해오는 고분이다.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의하면 허황후는 옛 아유타국의 공주로 16세 때에 배를 타고 와서 수로왕 7년에 왕비가 되었으며, 영제 중평 6년 기사(189) 3월 1일 왕후가 세상을 마치니, 나이는 157세였다..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6.10.17
김해 가락국 수로왕릉 김해 가락국 수로왕릉 이 능은 오래 전부터 가락국의 시조 수로왕의 능으로 전해져왔다.봉분은 원형봉토분이며 능의 규모는 직경 22~23m, 높이 5m이다. 왕릉 경내에는 신위를 모신 숭선전, 안향각, 전사청, 제기고, 납릉정문, 문무인석, 가락루, 홍살문 등의 부속건물과 석물이 있다. 삼국유사의 '가락국기..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6.10.16
고성 연화산 옥천사 고성 연화산 옥천사 연화산 옥천사는 의상대사가 당나라 지엄법사(智儼法師)에게서 화엄학을 공부하고 돌아와, 화엄을 강론하기 위해 문무왕 16년(676)에 전국 요소에 창건했다는 화엄 10찰의 하나라고 전해온다. 절의 이름은 대웅전 좌측에 끊임없이 솟아나는 달고 맛있는 샘(玉泉)이 있다는 것에서 유..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6.07.01
고성 무이산 문수암 고성 무이산 문수암 문수암은 한국의 남단인 남해의 한려수도를 한눈에 바라보는 마치 비단 위에 수를 놓은 듯한 수려한 절경에 자리잡고 있다. 문수암은 신라 의상대사가 창건한 도량으로 전해진다. 신라 신문왕 8년(688) 의상대사가 정진을 하려고 남해 금산을 향하여 행각하던 중 날이 저물어 이곳 ..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6.06.30
창녕 유리 고인돌 창녕 유리 고인돌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지석묘(支石墓)라고도 부른다. 그 가운데 특히 규모가 크거나 부장품이 많은 것은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네 개의 받침돌을 세워 지상에 무덤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6.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