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영산 석빙고 창녕 영산 석빙고 이 석빙고는 화강석으로 축조된 조선시대 중기의 얼음창고이다. 석빙고는 문쪽이 높고 그 반대쪽이 낮은 장방형의 빙실을 이루고 있다. 입구를 남쪽에 두고 문은 지면에서 한 단 낮은 곳으로 내려가게 된 석계 끝에 있다. 옹벽에 큼직한 돌 세벌을 쌓아 주변을 정리하였고, 천장은 주..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6.04.24
창녕 법화암 다층석탑 창녕 법화암(法華庵) 다층석탑 법화암은 원래 신라시대 영축산(靈鷲山)에 창건된 보림사(寶林寺) 소속의 암자였다. 원래 보림사는 규모가 매우 커서 법화암을 비롯한 9개의 암자에 1천여명의 승려가 머물렀으며, 보림사와 9개의 암자에서 씻는 쌀뜨물이 영산천(靈山川)을 탁하게 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6.04.23
창녕 구계리 석조여래좌상 창녕 구계리 석조여래좌상 이 불상은 광배와 함께 하나의 돌로 조각되어있다. 이곳 영산면 영축산에 있던 적조사(寂照寺)에서 발견되었다고 전할 뿐 자세한 내력을 알 수 없다. 불상과 광배는 전반적으로 마멸이 심해 원형을 파악하기 힘들다. 다만 머리 부분의 상투모양(肉계)과 얼굴에 비해 크게 조..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6.04.22
창녕 법성사 현대석불 창녕 법성사 현대석불 이 석불들은 석공명장이신 윤만걸 선생의 작품이다. 마치 인도의 아잔타석굴이나 엘로라석굴에 온 듯한 느낌이다. 가운데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왼쪽에 약사여래 오른쪽에 관음보살을 모시고, 남순동자상과 주악천인상을 조각해 놓있다. 남순동자는 일찍이 문수보살의 안내를..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6.04.21
창녕 청련사 현대석불 창녕 청련사 현대석불 청련사의 석조비로자나불좌상과 다보탑은 석공명장인 윤만걸 선생의 작품입니다. 극락전 앞에 다보탑이 있다는 것과 주변 전각들의 규모에 비하여 다보탑이 지나치게 커서 잘 어울리지 않는 것이 아쉽습니다.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극락전과 다보탑 *다보..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6.04.20
창녕 화왕산 삼성암 창녕 화왕산 삼성암 목조관음보살좌상 *삼성암 가는 길 *겹벚꽃 *삼성암 전경 *주변 산세 *목조관음보살좌상 *목조관음보살좌상 *목조관음보살좌상 상호 *목조관음보살좌상 *삼성각 *삼성각 편액 월하스님서 *천태실 천태실이란 독성각의 다른 이름입니다. 독성, 또는 나반존자는 천태산 위에서 홀로 ..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6.04.19
창녕 사리(舍里) 석조광배 창녕 사리 석조광배 광배는 부처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하여, 부처님의 신비함과 위대함을 나타낸 의장이다. 광배는 머리에서 발산하는 빛을 표현한 두광과 몸 전체에서 발산하는 빛을 표현한 신광이 있다. 두광은 간다라 불상에서 유행한 형식으로, 처음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는 둥근 판(圓..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6.04.18
통영 수우도 은박산의 봄꽃 통영 수우도 은박산의 봄꽃 *생강나무 *생강나무 *생강나무 *생강나무 *생강나무 *생강나무 *찔레꽃 새싹 *진달래 새싹 *진달래 *진달래 *진달래 *진달래 *진달래 *진달래 *춘란(보춘화) *춘란(보춘화) *동백 *동백 *동백 *동백 *동백 *동백 *동백 *동백 *동백 *동백 *동백 *동백 *동백 *동백 *동백 <2006. 3. 12&..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6.03.18
통영 수우도 은박산 통영 수우도 은박산 *수우도 은박산 *수우도 은박산 *수우도 은박산 주변 풍광 *수우도 은박산 *수우도 은박산 *수우도 은박산 *수우도 은박산 주변 풀광 *수우도 은박산에서 바라본 북사량도 *수우도 은박산에서 바라본 남사량도 *수우도 은박산에서 바라본 북사량도 지리봉산 *수우도 은박산 주변 풍..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6.03.18
통영 수우도 해안풍광 통영 수우도 해안풍광 수우도는 통영시에 속하는 여러 섬들 가운데 가장 서쪽 해상에 위치한 섬이다. 한려수도와 남해를 잇는 수로의 요충지로서 주위에는 윗섬·아랫섬이 있다. 섬의 형태가 소와 비슷하고 나무가 많다 하여 수우도라 했다. 자연경관이 빼어나서 배에서 바라보는 해안절벽의 기기묘..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6.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