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연화산 옥천사
연화산 옥천사는 의상대사가 당나라 지엄법사(智儼法師)에게서 화엄학을 공부하고 돌아와, 화엄을 강론하기 위해 문무왕 16년(676)에 전국 요소에 창건했다는 화엄 10찰의 하나라고 전해온다. 절의 이름은 대웅전 좌측에 끊임없이 솟아나는 달고 맛있는 샘(玉泉)이 있다는 것에서 유래하였다.
연꽃이 반개한 모습을 한 연화산(蓮華山)의 옛 이름은 비슬산이었는데 조선 중기에 중창되면서 산의 이름이 연화산으로 바뀌었다. 이 절은 여러차례 중창과정을 거쳤다. 통일신라시대의 진경국사(眞鏡國師)와 고려시대의 진각국사(眞覺國師) 등이 이절에 기거하며 수학하였고, 임진, 정유왜란 때는 구국 승병의 군영 역할을 수행하며 호국사찰의 기능도 수행하였다.
천왕문을 지나 계곡을 건너면 넓은 마당이 나오고 그 맞은 편에 거대한 성채처럼 절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자방루(滋芳樓)가 바라보인다. 자방루는 그 크기와 형태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자방루는 정면 7칸, 측면 3칸의 단층 팔작지붕의 건물이다. 또 기둥 사이를 모두 두터운 문으로 막고, 오직 앞마당과 면하는 전면만을 개방하여 큰 성채를 방불케한다. 건물의 장식 역시 당당하고 사치스러울 만큼 화려하게 치장하였다. 이러한 건물형식은 이 건물이 단지 신도를 위한 설법용이나 불국(佛具)를 두기 위한 보관용이 아님을 보여준다.
임진왜란 직후 조정에서는 전략 요충지에 비상시를 대비한 군사적 목적의 사찰을 건립한 예가 있다. 경남의 대표적 사찰이었던 옥천사의 이 건물도 이러한 목적에서 지어졌을 것이다. 즉 군사용 회합장소로 대공간이 필요했을 것이며, 사찰을 보호하는 외곽의 방어용 성채도 필요했을 것이다. 또한 군사 훈련을 위한 넓은 장소도 있어야 했을 터이므로, 산지에 자리잡은 절에서는 예를 찾기 힘들 정도로 큰 자방루 앞의 넓은 앞마당이 바로 그러한 목적에 잘 부합된다고 하겠다. 따라서 거대한 성채와 같은 자방루는 조선 후기 사찰 건립의 또다른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하겠다.
자방루 안쪽은 대웅전과 적묵당, 탐진당 그리고 자방루로 둘러싸인 마당이다. 즉 산지중정형의 구조이다. 마당에는 두쌍의 괘불지주가 서 있어서 이채롭다. 대웅전은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57년(효종 8)에 용성화상이 중창하였으며 그 후 여러차례 중수하였다.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팔작지붕의 다포계 양식 건물이다. 건물의 규모는 일반 대웅전과 비슷하나, 마주보고 있는 자방루나 적묵당의 크기에 비하면 초라하기만큼 작은 편이다. 앞마당의 뜰(中庭)도 자방루에 비해 훨씬 작고, 부속 건물에 둘러싸여 답답한 느낌을 준다. 다만 높이 쌓은 석축 위에 건물을 조성함으로써, 이곳을 찾는 사람이면 누구든 위를 올려보게 하여 중심건물이 갖는 당당한 권위를 나타내고 있다.
건물의 부재들 역시 고급스럽고 튼실하여 조선후기 남해안 지방에 건립된 일반 사찰에 비해 훨씬 고급스러운 자태를 뽐내고 있다. 기둥의 장식물들은 길게 뻗어있으면서도 완만하게 상승하고 있어서 힘과 유려함을 동시에 느끼게 해 주고 있다. 전체적으로 보아 이 대웅전은 조선 후기 다포계 팔작집의 화려한 격식을 제대로 갖추고 있는 당시의 대웅전 건축양식을 이해하는데 좋은 자료가 된다. 대웅전 안에는 석가삼존불이 모셔져 있는데 삼존불의 수인이 다른 곳에서는 보기 힘든 모습이다. 즉, 두 손을 종아리 위에 손등이 보이도록 얹어놓은 모습을 하고 있다.
대웅전의 왼쪽을 돌아 들어가면 이절의 이름을 옥천사로 이름짓게 한 맑은 물이 샘솟는 옥천이 나온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옥천샘은 신기하게도 매일 일정량의 공양미를 흘려주었다. 어느날 한 스님이 더 많은 공양미를 얻기 위해 바위를 깨뜨리고 샘을 헐었더니 공양미는 커녕 물까지 말라버렸다. 그러나 후에 또 다른 스님이 지성으로 기도드리자 다시 샘물이 솟고 덩달아 연꽃 한송이가 피어나면서 만병통치의 약수가 되었다고 한다.
대웅전 뒤편 축대 위로는 팔상전, 명부전, 옥천각, 나한전, 산령각, 독성각, 조사전, 칠성각 등의 작은 전각들이 지붕을 맞대로 오밀조밀하게 줄지어 서있다. 그중에 조사전 축대 아래에는 또 하나의 샘물이 솟고 있어 눈길을 끈다.
*옥천사 입구 나무장승
*옥천사 입구 누석단
*옥천사 일주문
*연화산 옥천사 편액
*옥천사 부도밭
*월파당 연화부도
*옥천사 숲길
*옥천사 계곡
*천왕문
*자방루
*자방루
*자방루
*자방루
*자방루에서 바라본 풍광
*자방루
*옥천사 편액
*연화산 옥천사 쪽문
*자방루 마루
*자방루 천정
*자방루 비천상 천정화
*대웅전 앞마당
*대웅전
*대웅전 편액
*대웅전 앞마당
*대웅전 삼존불
*괘불지주
*괘불지주
*적묵당
*적묵당 편액
*탐진당
*탐진당 편액
*옥천각
*옥천
*팔상전
*명부전
*명부전 시왕
*명부전 시왕
*명부전 앞 연꽃 수조
*수조
*수조의 문양
*전각들
*독성각
*산령각
*나한전
*칠성각
*조사전
*조사전 축대 아래의 샘
<2006. 6. 18>
'◈한국문화순례◈ > 낙남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해 가락국 수로왕비릉 (0) | 2006.10.17 |
---|---|
김해 가락국 수로왕릉 (0) | 2006.10.16 |
고성 무이산 문수암 (0) | 2006.06.30 |
창녕 유리 고인돌 (0) | 2006.04.25 |
창녕 영산 석빙고 (0) | 2006.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