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김해박물관 뿔모양잔(角杯) 국립김해박물관 뿔모양잔(角杯) <국립김해박물관> 짐승의 뿔 모양과 흡사하게 만든 잔은 처음에는 실제 뿔을 잘라 음료를 마시던 테에서 시작되었다. 삼국시대 뿔모양 잔은 낙동강 유역에서 성행하였는데, 세련된 곡선의 조형미를 뽐내고 있다. ▲뿔모양잔(角杯, 가야시대) ▲뿔모양잔(角杯, 가야..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13
마산 현동 뿔모양잔(角杯) 마산 현동 뿔모양잔(角杯) <국립김해박물관> ▲뿔모양잔(角杯,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13
김해 능동 등잔모양토기(燈盞形土器) 김해 능동 등잔모양토기(燈盞形土器) <국립김해박물관> 굽다리가 달린 작은 항아리 위에 여러 개의 등잔이 붙은 모습이다. 항아리와 잔은 작은 구멍으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불을 밝히는 심지를 둘 수는 없다. 장송의례 때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등잔모양토기(燈盞形土器, 가야시대) <201..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13
국립김해박물관 등잔모양토기(燈盞形土器) 국립김해박물관 등잔모양토기(燈盞形土器) <국립김해박물관> ▲등잔모양토기(燈盞形土器, 가야시대) ▲등잔모양토기(燈盞形土器,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13
함안 도항리 굽다리접시(火焰文透窓高杯) 함안 도항리 굽다리접시(火焰文透窓高杯) <국립김해박물관> ▲굽다리접시(火焰文透窓高杯, 가야시대) ▲굽다리접시(火焰文透窓高杯) ▲굽다리접시(火焰文透窓高杯, 가야시대) ▲굽다리접시(火焰文透窓高杯,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11
함안 말산리 오리모양토기(鴨形土器) 함안 말산리 오리모양토기(鴨形土器) <국립김해박물관> ▲오리모양토기(鴨形土器,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11
부산 복천동 항아리ㆍ그릇받침(長頸壺ㆍ器臺) 부산 복천동 항아리ㆍ그릇받침(長頸壺ㆍ器臺) <국립김해박물관> ▲항아리ㆍ그릇받침(長頸壺ㆍ器臺, 가야시대) ▲항아리ㆍ그릇받침(長頸壺ㆍ器臺,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11
김해 대성동 목가리개(頸甲) 김해 대성동 목가리개(頸甲) <국립김해박물관> 사람의 목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쇠갑옷으로 세로로 긴 철판을 못 또는 가죽 끈을 사용해서 부채 모양으로 연결하였다. 시간이 지날수록 철판은 좁아지고 철판 수는 많아진다. 처음에는 갑옷에 붙여서 만들어졌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리되..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