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 우거리 구멍단지(有孔壺) 함안 우거리 구멍단지(有孔壺) <국립김해박물관> ▲구멍단지(有孔壺,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03
김해 봉황동 항아리(把手附壺) 김해 봉황동 항아리(把手附壺) <국립김해박물관> ▲항아리(把手附壺,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03
김해 봉황동 손잡이항아리(把手附壺) 김해 봉황동 손잡이항아리(把手附壺) <국립김해박물관> ▲손잡이항아리(把手附壺,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03
국립김해박물관 솥모양토기(鍑形土器) 국립김해박물관 솥모양토기(鍑形土器) <국립김해박물관> ▲솥모양토기(鍑形土器, 가야시대) ▲솥모양토기(鍑形土器, 가야시대) 경남지역 출토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02
국립김해박물관 화덕모양토기(竈形土器) 국립김해박물관 화덕모양토기(竈形土器) <국립김해박물관> ▲화덕모양토기(竈形土器, 가야시대) 출토지미상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02
국립김해박물관 네모접시(四角盌) 국립김해박물관 네모접시(四角盌) <국립김해박물관> ▲네모접시(四角盌, 가야시대) ▲네모접시(四角盌, 가야시대) 출토지미상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02
김해 부원동 시루(甑) 김해 부원동 시루(甑) <국립김해박물관> 끓일 음식과 물을 가득 넣은 무거운 토기를 뿌뚜막에 걸치면 부두막이 무너지거나 토기가 내려 앉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서 부두막 바닥에 큰 돌을 세워 토기를 받쳤다. 가끔은 돌 대신 토기를 사용하기도 했다. 또 이돌 덕분에 토기에 열이 골고루 퍼져서 ..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01
창원 다호리 뚜껑접시(蓋杯) 창원 다호리 뚜껑접시(蓋杯) <국립김해박물관> ▲뚜껑접시(蓋杯, 가야시대) ▲뚜껑접시(蓋杯, 가야시대) ▲뚜껑접시(蓋杯, 가야시대) ▲뚜껑접시(蓋杯,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4.25
함안 우거리 받침모루(內拍子) 함안 우거리 받침모루(內拍子) <국립김해박물관> ▲받침모루(內拍子, 가야시대) ▲받침모루(內拍子,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