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자장율사 진영

蔥叟 2011. 1. 17. 05:47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자장율사 진영

<통도사성보박물관>

 

조선시대 1804년 작

 

   해장보각 (海藏寶閣-開山祖堂)에 봉안되었던 통도사의 개산조(開山祖)인 자장율사의 진영이다. 좌팔분면(左八分面)의 의자상이나 가부좌한 자세이며, 왼손에는 불자(拂子)를 잡고 오른손으로는 불자의 술을 만지고 있는 모습이다. 배경은 크게 2단구성을 보여준다. 상단은 짙은 녹색이고 하단은 돗자리를 묘사하고 있는데 백색이어서 강한 색채대비를 보여준다. 이 진영의 봉안처인 개산조당이 1727년(영조 9)에 건립되었으나, 진영의 조성년대는 1804년으로 상당히 늦어, 이 진영에 앞서 다른 자장율사의 진영이 봉안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홍색가사와 녹색장삼이 강렬한 색채대비를 보여주나, 같은 농담(濃淡)의 채색을 반복해 사용하고 있고, 음영이 표현된 필선은 힘이 빠져 조성년대가 조선후기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안면(顔面)에서 풍기는 인상은 고승의 위엄을 적절하게 표현하고 있다. 화사(畵師)는 성인(成仁)과 개휴(開閑)비구이다.

 

자장율사 진영

    

자장율사 진영

 

   자장은 신라시대의 고승으로 성은 김씨, 속명은 선종랑(善宗郞)이며 무림(茂林)의 아들이다. 무림은 진골출신으로 신라 17관등 중 제3위에 해당하는 소판(蘇判)의 관직에 있었다. 늦게까지 아들이 없었던 그는 불교에 귀의하여 아들을 낳으면 시주하여 법해(法海)의 진량(津梁)이 되게 할 것을 축원하면서, 천부관음(千部觀音)을 조성하였다. 어느날 어머니가 별이 떨어져 품안으로 들어오는 태몽을 꾸고 석가모니가 탄생한 4월초파일에 자장을 낳았다. 천성이 맑고 슬기로워 학문을 깊이 닦아 익혔으며, 어버이를 여읜 뒤부터 세속의 번거로움을 싫어하여 처자를 버리고 홀로 깊은 산으로 들어가 고골관(枯骨觀)을 닦았다. 조그만 집을 지어 가시덤불로 둘러막고 벗은 몸으로 그 속에 앉아 움직이기만 하면 곧 가시에 찔리도록 하였고, 끈으로 머리를 천장에 매달아 정신의 혼미함을 물리쳤다.

 

   그때 조정의 재상 자리가 비어 그를 기용하려 하였으나 부름에 응하지 않았으므로, 왕은 취임하지 않으면 곧 목을 베라는 엄한 명을 내렸다. 그는 칙명을 듣고, "내 차라리 계(戒)를 지키고 하루를 살지언정 계를 깨뜨리고 백년을 살기를 원하지 않는다(吾寧一日持戒死 不願百年破戒而生)."고 하였다. 이 말을 전해들은 왕은 출가를 허락하였다. 그뒤 더욱 깊은 산속으로 들어가 수행하였는데, 그때 이상한 새가 과일을 물고 와서 공양하였고, 천인(天人)이 와서 5계를 주는 꿈을 꾸었다고 한다.

 

   636년(선덕여왕 5) 승실(僧實) 등 제자 10여명과 함께 당나라로 가서, 먼저 문수보살(文殊菩薩)이 머물러 있다는 청량산(淸凉山)의 문수보살상에 은밀한 감응을 기도하였다. 7일 동안의 기도 후 꿈에 대성(大聖)이 나타나 사구게(四句偈)를 주었다. 아마도 그는 이곳에 머무는 동안 화엄사상의 묘지(妙旨)를 터득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즉, 이곳 문수보살상 앞에 기도하여 꿈에 얻은 게송이 비로 화엄의 내용을 천명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자장율사 진영

 

자장율사 진영

 

   그뒤, 중국 장안(長安)으로 갔는데, 당나라 태종을 사신을 보내어 그를 위로하고 승광별원(勝光別院)에 머무르게 하였으며, 후한 대접을 하였다. 어느날 한 장님이 그의 설법을 듣고 참회하자 곧 눈을 뜨게 된 일이 있었다. 이러한 소문이 퍼지자 그를 찾아와 계를 구하는 사람이 매일 1, 000여명에 이르렀다. 이렇게 그가 당에서 한참 활동하는 시기에 선덕여왕은 자장의 귀국을 정식으로 요청한다. 귀국길에 본국 신라에 불상과 불경 등이 미비함을 생각하고 대장경 한질과 번당(幡幢)·화개(華蓋) 등을 골고루 마련하였으며, 7년만에 귀국하였다.

 

   그의 생애에서 보다 중요한 것은 불교의 홍통(弘通)을 통한 국민교화와 불교교단의 기강확립이었다. 어느 해 여름, 궁중에서 대승론(大乘論)을 강하였고, 황룡사에서 7일 동안 <보살계본(菩薩戒本)을 강하였다. 그러나 당시 신라불교는 기강이 세워져 있지 못하였고, 조정에서 대국통이라는 높은 직위를 주었던 것도 그로 하여금 전국의 승니(僧尼)들을 관장하도록 하기위해서였다.

 

   한편, 일찍이 자기 집을 절로 바꾸었던 원녕사를 다시 증축하고, <화엄경>을 강하여 화엄교법(華嚴敎法)을 천명할 때 52명의 여인이 나타나 법을 듣고 깨닫자 문인(門人)들이 그 수만큼의 나무를 심어 이적(異蹟)을 기념하였는데, 그 나무를 지식수(知識樹)라고 불렀다. 이로 인하여 신라에 화엄사상을 최초로 소개한 인물을 자장이라고 보고 있다. 특히, 그는 신라야말로 예로부터 불교와 인연이 깊은 터전이라고 믿었는데, 그러한 불국토사상(佛國土思想)은 <삼국유사>의 여러 곳에 나타나 있다. 저서로는 <아미타경소 (阿彌陀經疏)>1권, <아미타경의기 (阿彌陀經義記)>1권, <사분율갈마사기 (四分律갈磨私記)>1권, <십송율목차기 (十誦律木叉記)>1권, <관행법(觀行法)>1권 등이 있다.

 

 

 

<2011. 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