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 향교 거제 향교 향교는 유교의 옛 성현을 받들면서, 지역사회에서 인재를 야성하고 미풍양속을 장려할 목적으로 설립된 전통시대의 지방교육기관이다. 거제향교는 1432년(세종 14)에 고현에 설립된 후 수차례의 이전을 거쳐 1855년(철종 6)에 지금의 위치에 자리 잡았다. 향교의 공간은 교육과 제례의 두 영역..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1.02.22
거제현 관아 기성관(岐城館) 거제현 관아 기성관(岐城館) 거제 지역에는 왜구의 침략이 잦았기 대문에, 조선초기에 이를 방어하기 위해 옥포, 조라, 가배, 장목 등 7곳에 군사기지를 설치하였다. 이후 1470년(성종원년)에 거제현이 부로 승격되며, 일반행정과 함께 군사업무를 총괄할 목적으로 고현성(古縣城)에 이 건물을 세웠다. 따..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1.02.21
거제현 관아 질청(秩廳) 거제현 관아 질청(秩廳) 질청은 기성관과 함께 거제현 관청의 부속 건물이다. 질청이란 지방관청의 육방을 비롯한 하급 관리들이 사무실이나 서재로 이용했던 건물로, 작청(作廳) 또는 연청(椽廳)이라고도 한다. 거제현의 관청은 원래 조선 세종 6년(1423)에 고현성에 건립되었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고..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1.02.20
고성 송학리 고분군 고성 송학리 고분군 송학리 고분군은 고성읍 북쪽의 무기산 일대에 위치한 가야시대 고분군으로 7기 가량의 고분이 밀집되어 있다. 소가야 왕들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고분에는 겉모양이 일본의 전방후원분(前方後圓墳)과 닮았다 하여 한일 양국 간에 뜨거운 논쟁을 일으켰던 제1호분도 위치하고 있다...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1.02.19
고성 송학리 고인돌 고성 송학리 고인돌 지석묘는 청도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가운데 하나로, 고인돌 또는 돌멘(Dolmen)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모양의 무덤은 한반도 지역은 물론, 중국 동북지방과 일본 규슈지방에도 분포하고 있다. 송학리 고인돌은 1997년 고선군 삼산면 두포리 두포마을 620번지 논에 있었으나, 두모마을..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1.02.19
밀양 만어사 '靈'자 문양석 밀양 만어사 '靈'자 문양석 만어사 삼성각 앞에는 마치 톱으로 잘라낸 듯이 평평한 바위에 커다랗게 '靈'이란 글씨가 새겨진 바위가 있어 '靈字 문양석'이라 부른다. '靈'자 위에는 'O'모양의 문양이 또 아랫쪽에는 'O'주위로 햇살이 퍼져 나가는 듯한 문양이 새겨져 있다. 아랫쪽 문양은 해..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1.02.18
밀양 만어사 삼층석탑 밀양 만어사 삼층석탑 만어사 대웅전 앞에는 아담한 삼층석탑 한 기가 서 있다. 지금의 대웅전이 자리한 위치와는 떨어져 있고 탑의 방향도 틀어져 있어 대웅전과는 연관성이 없어보인다. 석탑의 뒤편에 건물터로 보이는 널찍한 대지가 있어 이곳이 본래의 법당터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 석탑도 지금..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1.02.17
밀양 만어산 만어석(萬魚石) 밀양 만어산 만어석(萬魚石) 수많은 물고기산이란 의미를 지닌 만어산 만어사에 가면 크고 작은 돌이 수없이 널브러져 마치 물고기가 등을 드러내며 산을 향해 헤엄쳐 달리며 입질하는 듯한 형상을 하고 있다. 돌 하나하나를 물고기로 보아 수많은 고기들이 계곡을 덮었다하여 만어사라 하였다. 이 신..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1.02.16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동제보탑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동제보탑 <통도사성보박물관> 고려시대 ▲동제보탑 ▲상륜부 ▲탑신부 <2011. 1. 5>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1.02.04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동제범종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동제범종 <통도사성보박물관> 고려시대 14세기 ▲동제범종 ▲용뉴 ▲유곽 <2011. 1. 5>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1.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