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유신장상벽전 - 경주 사천왕사터 활과 화살을 든 신장 녹유신장상벽전 - 경주 사천왕사터 활과 화살을 든 신장 ㅎ활과 화살을 든 신장은 정면을 응시하고, 왼손에 활, 오른손에 화살을 들고 있다. 사천왕사(四天王寺) 동ㆍ서 목탑터 기단부에서 출토된 녹유전에 새긴 상(像)의 정체에 대하여 강우방의 사천왕상설(四天王像說)과 문명대의 팔부..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8.10.02
녹유신장상벽전 - 경주 사천왕사터 왼손에 칼을 든 신장 녹유신장상벽전 - 경주 사천왕사터 왼손에 칼을 든 신장 사천왕사 목탑 기단에 장엄된 녹유신장벽전은 동서목탑 기단부 네 면에 모두 24점(동서 목탑 총 48구)이 배치되었으며 종류는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각 벽전은 목탑 중앙계단을 기준으로 왼쪽에 3점, 오른쪽에 3점, 기단 한 면에 모..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8.10.01
경주 황룡사터 출토 풍탁 경주 황룡사터 출토 풍탁 통일신라 ▲풍탁(목탑터 출토) ▲풍탁(목탑터 출토) ▲풍탁(목탑터 출토) ▲풍탁(목탑터 출토) ▲풍탁편(금당터 출토) ▲풍탁 편(금당터 출토) <2018. 9. 1>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8.10.01
경주 장창골 출토 삼존불좌상 경주 장창골 출토 삼존불좌상 1924년 경주 남산 장창골의 한 설식에서 발견되어, 그 이듬해 박물관으로 옮겨온 불상이다. 삼화령 미륵삼존불이라고도 부르는데, 삼국유사 '생의사석미륵조'조에서 선덕여왕 3년, 즉 634년에 경주 남산 삼화령 생의사라는 절에 있던 미륵삼존불이라는 기록에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8.09.30
경주 입실리 출토 석조선각불좌상 경주 입실리 출토 석조선각불좌상 통일신라 9세기 말~10세기 초 어깨가 좁아 왜소한 느낌을 주며얼굴에 비해 낮은 머리와 육계가 어설퍼 보인다. 동심원이 반복되는 두광이 특이하다. 네모난 얼굴은 8세기 불상에서 주로 볼 수 있는 특징이지만 좁은 어깨는 9세기 불상의 전형이다. 두광의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8.09.30
경주 분황사 출토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경주 분황사 출토 석조비로자나불좌상 통일신라 9세기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석조비로자나불좌상 <2018. 3. 18>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8.09.29
군위 화본리 오층석탑 군위 화본리 오층석탑 고려시대의 5층석탑으로 높이는 2.95m이며 단층기단 하부는 매몰되어 있다. 노출된 기단 상면에 3단 괴임을 각출하고 그 위에 탑신부를 올렸다. 탑신석은 초층 몸돌만이 폭에 비해 높이가 높고, 나머지는 높이가 아주 낮다. 지붕돌은 모두 낙수면이 짧고 경사가 심하..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8.09.29
군위 화본역 급수탑 군위 화본역 급수탑 화본역의 급수탑은 1899년부터 1967년까지 우리 국토를 달리던 증기기관차의 역사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이 급수탑은 1930년대 말에 지어진 것이다. 높이가 25m, 하단 지름 5m, 상부 물 저장 탱크 지름이 4m에 달하며 외부에는 담쟁이 덩굴로 싸여 이국적인 풍경을 자아내..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8.09.29
고성 장산숲 고성 장산숲 장산숲은 지금으로부터 약 600년 전 조선 태조 때정절공(貞節公) 호은(湖隱)허기(許麒)가 마을에 바다가 비치면 번쩍번쩍해 좋지 않다는 풍수지리상 결함을 보충하기 위하여 조성한 것이라 전해지고 있다. 숲이 처음 조성되었을 때에는 그 길이가 약 1,000m에 이르렀다고 하나 ..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8.08.29
고성 석마리 석마 고성 석마리 석마 고성 석마리석마(固城 石馬里 石馬)는 경상남도 고성군 마암면 석마리에 있는 조각상이다. 1974년 2월 16일 경상남도의 민속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다. 마암면 석마리 마을 입구의 당산나무 옆에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화강암으로 깍아 만든 2구의 말(馬) 조각상이다. 마..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8.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