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성 읍하리 석불좌상 횡성 읍하리 석불좌상 전체 높이 2.1m. 현재 이 불좌상은 읍하리삼층석탑(강원도유형문화재 제23호)와 함께 나란히 놓여져 있다. 원래 공근면 상동리의 옛 절터에 함께 있던 것을 일제 강점기 때 현재의 위치로 옮겨온 것이다.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8.07.02
횡성 중금리 삼층석탑 횡성 중금리 삼층석탑 중금리 삼층석탑(橫城 中金里 三層石塔)은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 2기이다. 1971년 12월 16일 강원도의 유형문화재 제19호로 지정되었다. 동서로 서 있는 쌍탑으로, 탑을 품었던 절터는 민가와 경작지로 변하여 탑 이외의 다른 유물은 남아있지 않다. 2층 기단(基..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8.07.01
충주 창동리 오층석탑 충주 창동리 오층석탑 고려 전기 석탑인 충주 창동리 오층석탑은 원래 100m 정도 북쪽으로 떨어진 민가에 세워져 있었는데, 1977년경 현재의 자리로 옮겨 세운 것이라고 한다. 석탑이 있었던 자리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는 않았지만 석탑이 건립되었던 것으로 보아 사찰이 있었..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8.06.14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통일신라시대 석탑인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은 남한강변에 인접하여 세워졌다. 홍수 등으로 인한 석탑의 붕괴를 막기 위하여 높은 토단을 조성한 다음, 그 위에 대형의 석탑을 건립하였다. 이러한 것으로 보아 건립할 때 상당한 관심과 인력이 동원되었음을 알 수 있..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8.06.13
충주 억정사터 대지국사탑비 충주 억정사터 대지국사탑비 억정사(億政寺)에 전해오는 비(碑)로, 대지국사가 1328년(충숙왕 15)에 태어나 14세에 출가하고 1390년(공양왕 2) 입적할 때까지의 행적을 기록하고, 대사의 인품과 학력을 기리는 내용이 실려 있다 엄정면 괴동리 억정사지의 높은 언덕 위에 우뚝 서서 괴동리 앞..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8.06.12
충주 부흥사 방단적석유구 충주 부흥사 방단적석유구 조선 전기 방형의 기단에 판석을 쌓아 만든 전탑 모양의 적석유구. 엄정면 목계리 부흥사 내의 산신당 옆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불탑이 금당 앞 중앙에 위치하는 모습과는 다르다. 벽돌 크기보다 작은 장방형의 작은 돌을 이용하여 높이 약 8m, 둘레 약 13m로 쌓..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8.06.11
삼국시대 마애불상군 -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 여래좌상 삼국시대 마애불상군 -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 여래좌상 햇골산 중턱에 동향한 높이 3.5m, 폭 8m의 암벽에 양각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슬부가 비교적 넓고도 높게 표현되어 안정감이 있어 보이는 반면 상체는 짧게 조형되었다. 무릎 밑으로는 파손이 심해 확실한 면은 알 수 없으나, ..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8.06.10
삼국시대 마애불상군 -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 삼국시대 마애불상군 -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 중봉황리 안골[內洞]을 흐르는 봉황천이 남한강에 합류되기 전 구부러진 곳에 해발 80여 m의 햇골산이 있다. 햇골산은 해가 뜨는 곳 또는 햇살이 제일 먼저 비치는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햇골산 중턱에 마애여래좌상 1구가 조성되어 ..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8.06.09
충주 원평리 삼층석탑 충주 원평리 삼층석탑 원평리 사지에는 충주 원평리 석조여래입상과 석탑 등이 남아 있다. 이 사찰은 신라 선덕왕 때 창건되어 조선시대 병자호란 때 소실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입증할 만한 기록이나 유적·유물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내용은 알 ..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8.06.08
충주 원평리 석조여래입상 앞 봉로대 충주 원평리 석조여래입상 앞 봉로대 ▲봉로대 ▲봉로대 ▲봉로대 <2018. 5. 19>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8.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