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원평리 석조여래입상 충주 원평리 석조여래입상 선조사지에 있는 고려시대 미륵석불인 원평리 석조여래입상은 신라 성덕왕 때 창건되었다가 병자호란 때 폐사되었다고 전하는 선조사지(善祖寺址)에 삼층석탑과 함께 나란히 서 있다. 머리에 팔각의 보개를 얹고 있는 석불입상으로, 팔각의 넓은 보개는 석등..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8.06.06
남원 북천리 석장승 남원 북천리 석장승 북천리 석장승은 농로 입구 양쪽에 서 있는데 각각 東方逐鬼大將軍과 西方逐鬼大將軍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이름으로 보아 북천리 장승은 방위를 지키는 수호신이다. 오른족에 서 있는 동방축귀대장군은 남자상으로, 주먹만 한 상투가 머리 위에 올라가 있고, .. ◈한국문화순례◈/지리산문화권 2018.06.02
남원 서천리 석장승 남원 서천리 석장승 서천리 당산은 당산나무, 돌장승, 솟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함께 마을의 수호신으로 모셔지고 있다. 남녀 한 쌍인 돌장승은 운봉초등학교 서쪽 500여m 지점에 마주보고 서 있는 부부장승이며, 이 주변에 당산나무가 있다. 장승과 솟대를 함께 세워 제사를 지내는 것은 전.. ◈한국문화순례◈/지리산문화권 2018.06.01
남원 권포리 석장승 남원 권포리 석장승 권포리에는 네 개의 석장승이 있다. 둘씩 두 쌍이다. 이들은 마을 입구에 한 쌍이 있고, 들판에 한 쌍이 있다. 이들 장승은 서림의 석장승에 비해 마모가 심해 역사성과 예술성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그나마 마을 입구 석장승에서 대장군과 갑자(甲子)라는 명문을 확인.. ◈한국문화순례◈/지리산문화권 2018.05.31
남원 주천 석장승 남원 주천 석장승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호기리에 있는 돌장승. 미륵 불상 모양과 비슷해서 이곳 사람들은 미륵정이라고 부른다. 김기수의 자손들이 장승을 보호하고 칠월 칠석이면 여기에 모여 제사를 지내자 큰 부자가 되었다고 한다. 언제 만들어졌는지 모르나, 전설에 의하면 아들.. ◈한국문화순례◈/지리산문화권 2018.05.30
남원 용담사 석불입상 남원 용담사 석불입상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용담리에 있는 고려시대 용담사지의 석불. 용담사는 백제 성왕 때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는 사찰로, 전설에 의하면 용담천 깊은 물에 이무기가 살면서 온갖 행패를 부렸다고 한다. 이를 막기 위해 신라 말 도선 국사가 절을 창건하고 용담사라.. ◈한국문화순례◈/지리산문화권 2018.05.29
남원 용담사 석등 남원 용담사 석등 칠층석탑과 석불입상 사이에 일렬로 배치된 용담사 석등은 고려시대 작품이다. 팔각 지대석 위에 역시 팔각 하대석과 간주석이 있으며, 앙련의 상대석 위에 화사석을 얹고 옥개석을 얹었다. 별다른 장식이 없고 소박하면서도 장중한 느낌을 준다. 하지만 지대석과 하대.. ◈한국문화순례◈/지리산문화권 2018.05.28
남원 용담사 칠층석탑 남원 용담사 칠층석탑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용담리에 있는 고려시대 절터. 용담사는 고려 이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찰이다. 용담사의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지만, 백제 성왕(聖王) 때 창건하였다는 설과 통일신라 말에 도선 국사가 창건하였다는 설이 있다. 용담사는 현.. ◈한국문화순례◈/지리산문화권 2018.05.27
남원 방어의 거점 - 교룡산 선국사 석탑 남원 방어의 거점 - 교룡산 선국사 석탑 선국사 대웅전 앞마당에는 칠층석탑 한 기가 배롱나무 아래에 서 있다. 현대에 쌓은 석탑으로 여겨진다. 다듬은 돌을 쌓아 만든 3단의 기단부를 비롯하여 층급받침이 없는 지붕돌, 체감률이 없는 몸돌의 높이 등등이 전통 한국탑은 분명 아니다. ▲.. ◈한국문화순례◈/지리산문화권 2018.05.26
남원 방어의 거점 - 교룡산 선국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남원 방어의 거점 - 교룡산 선국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선국사(善國寺)는 교룡산성 내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의 말사이다. 교룡산이 이름 높은 것은 속에 교룡산성(蛟龍山城)을 품고 있어서이다. 교룡산성은 남원지역 20여 개의 산성 중 형태가 가장 잘 보존되어.. ◈한국문화순례◈/지리산문화권 2018.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