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천 물걸리 절터 석조대좌 및 광배 홍천 물걸리 절터 석조대좌 및 광배 보물 제544호. 대좌 높이 106cm, 광배 높이 187cm. 팔각연화대좌(八角蓮花臺座)와 주형거신광(舟形擧身光)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의 대좌와 광배이다. 하대는 안상이 새겨진 기대(基臺)와 복련석으로 구분된 1매의 석재로 이루어졌으며, 중엽의 ..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8.07.12
홍천 물걸리 절터 삼층석탑 홍천 물걸리 절터 삼층석탑 보물 제545호. 높이 4.01m. 석탑은 법당터 앞에 서 있는데, 지금의 자리가 원래의 위치로 보인다. 1975년에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았던 것을 보수하였다. 석탑은 2층 받침돌 위에 3층의 탑신부(塔身部)를 올리고, 꼭대기에 상륜부(相輪部)를 장식한 전형적인 신라 석탑..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8.07.11
홍천 물걸리 절터 홍천 물걸리 절터 강원도 기념물 제47호. 절의 이름을 정확히 알 수 없는 사찰지로서 발견된 유물들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의 절터로 추정할 수 있다. 이 사지에서 1967년 4월 통일신라시대의 금동여래입상(金銅如來立像)이 발견되었고, 이후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불대좌(佛臺座)·..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8.07.10
홍천 수타사 홍우당 승탑 홍천 수타사 홍우당 승탑 홍천 수타사 홍우당 부도(洪川 壽陀寺 紅藕堂 浮屠)는 강원도 홍천군 동면 덕치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승탑이다. 1984년 6월 2일 강원도의 문화재자료 제15호로 지정되었다. 수타사로 들어가는 길 옆에는 7기의 부도가 서 있는데, 이 부도도 그 중의 하나이다. 부도란..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8.07.09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7호. 수타사는 임진왜란 때 폐허가 되었으나 1636년(인조 14) 공잠(工岑) 스님이 대적광전을 다시 지었다. 대적광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多包系) 단층 겹처마 팔작지붕건물이다. 높은 장대석(長大石) 기단 위에 세웠는데 기둥은 모두 둥..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8.07.08
홍천 수타사 흥회루 홍천 수타사 흥회루 수타사 흥회루(洪川 壽陀寺 興懷樓)는 강원도 홍천군, 수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2015년 8월 7일 강원도의 유형문화재 제172호로 지정되었다. 1658년(효종 9)에 건축된 홍천 수타사 흥회루는 강원도에서 가장 오래된 보기 드문 누강당 형식의 건물로, 창건된 ..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8.07.07
홍천 수타사 봉황문 소조사천왕상 홍천 수타사 봉황문 소조사천왕상 홍천 수타사 소조사천왕상(洪川 壽陀寺 塑造四天王像)은 강원도 홍천군 동면, 수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천왕상이다. 1998년 9월 5일 강원도의 유형문화재 제121호로 지정되었다. 강원도 홍천군 동면 덕치리 수타사의 봉황문 좌우에 모셔져 있는 4구의 ..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8.07.06
홍천 수타사 삼층석탑 홍천 수타사 삼층석탑 홍천 수타사 삼층석탑(洪川 壽陀寺 三層石塔)은 강원도 홍천군, 수타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다. 1984년 6월 2일 강원도의 문화재자료 제11호로 지정되었다. 수타사에 있는 석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에는 아무런 ..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8.07.05
횡성 읍하리 석탑재 횡성 읍하리 석탑재 삼층석탑과 석불좌상이 안치되어 있는 보호각 안에 이름없는 석탑재 하나가 남아있다. 부드럽게 마감된 석탑재는 전체 높이 약 85cm정도로 가장 윗층 지붕돌에 몸돌이 붙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지붕돌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몸돌에 어떤 장식도 하지 않은 형태이다.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8.07.04
횡성 읍하리 삼층석탑 횡성 읍하리 삼층석탑 높이 2.2m.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23호. 본래 이 석탑은 횡성군내 어느 옛 절터에 있던 것을 1940년경 현위치로 옮겨 세운 것으로, 이전 당시 이미 기단부(基壇部)를 잃어 지금은 탑신부(塔身部)만 세워져 있다. 탑신부는 옥신과 옥개석이 각각 한 개의 돌로 되어 있으며,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8.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