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석촌호수 서울 석촌호수 현재의 석촌호수 북쪽 잠실벌은 서호의 남쪽에 나룻터가 한강이었으나 세월이 지남에 따라 토사가 쌓여 인공 섬이 생기면서 광진교 밑에서부터 잠실야구장까지 지금의 석촌호수를 지나는 송파강과 신천강을 이루는 샛강이 생기게 되었다. 1969년 한강 본류의 하상 정비 개..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7.07.05
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석촌동 고분군 제5호분 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석촌동 고분군 제5호분 葺石封土墳 분구(墳丘)를 흙으로 쌓은 봉토분(封土墳)으로서 유존 상태가 양호하고 또 이 일대에서 남아있는 유일한 봉토분이므로 보존하기 위하여 분구 일부만 발굴 조사하고 내부 구조는 확인하지 않았다. 분구는 내부 구조 위에 흙을 다..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7.07.04
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석촌동 고분군 제1호분 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석촌동 고분군 제1호분 석촌동 제1호분은 1987년에 조사당시 남분(南憤)과 북분(北墳)이 이어진 왕릉급의 대형 쌍분임이 확인되었다. 그 쌍분 전통은 압록강 유역이 환인형 고력묘자촌에 보이는 이음식돌무지무덤과 연결되고 있어 백제 지배 세력이 고구려와 관계..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7.07.03
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석촌동 고분군 내원외방형 적석총 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석촌동 고분군 내원외방형 적석총 제1호분 옆으로 내원외방형 적석총(內圓外方形積石塚)이 있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오래전에 분구, 내부구조, 기단부 등이 파괴되어 흙이 덮이고 그 위에 민가가 들어서 고분의 원형을 밝힐 수 없으나 발굴조사에 의하여..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7.07.02
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석촌동 고분군 제2호분 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석촌동 고분군 제2호분 석촌동 제2호분은 복원 정비하기 이전에는 길이 약 25m, 너비 약 20m, 높이 3~4m 크기의 봉우리 모양을 이루고 남아있던 것으로서 봉우리 모양의 분구 기저부 주위에는 민가가 들어서고 돌담이 둘러 있었으며 파괴된 분구 위에는 약 10~30cm 두께..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7.07.01
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석촌동 고분군 제4호분 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석촌동 고분군 제4호분 석촌동 4호분은 완전 도굴분이어서 연대를 추정할 만한 유물이나 자료가 없고 와편(瓦片)과 격문(格文) 또는 승문(繩文)을 가진 회색칠 연질토기 등도 연대의 근거가 못 된다. 그러나 4호분은 연도(羨道)를 갖고 있는 기단식 적석총으로 고구..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7.06.30
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석촌동 고분군 제3호분 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석촌동 고분군 제3호분 석촌동 고분군의 돌무지무덤(積石塚)은 백제가 서기 475년 웅진(공주)으로 도읍지를 옮기기 전까지 도읍지였던 이곳 한강 유역에 만든 백제 초기 고분군이다. 백제 초기의 매장 풍습과 함께 당시의 문화.정치.사회 등에 관한 흔적을 보여주..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7.06.29
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방이동 고분군 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방이동 고분군 방이동 고분군은 대부분 도굴되어 남아 있는 유물이 매우 적지만, 고분의 구조와 형태는 그대로 남아 있다. 낮은 구릉에 위치한 이 고분들은 굴식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으로, 사방의 벽을 돌로 쌓아 올린 뒤 한쪽에 널길(羨道)을 내고 바깥을 흙으..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7.06.28
서울 몽촌토성 충헌공 김구 묘역 서울 몽촌토성 충헌공 김구 묘역 조선숙종 때 우의정을 지낸 김구(1649~1704)의 묘역이다. 1682년 문과에 장원급제하고 사헌부 · 사간원에 재직하면서 많은 시국 상소를 올렸다. 노산군의 복위를 적극적으로 주장하여 단종으로 복위시켰다. 1703년 우의정이 되고 이듬해 어머니 상을 돌보다 ..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7.06.27
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몽촌토성 주거지 유적 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몽촌토성 주거지 유적 ▲몽촌토성 주거지 유적 ▲몽촌토성 주거지 유적 ▲몽촌토성 주거지 유적 ▲몽촌토성 주거지 유적 평면도 ▲몽촌토성 주거지 유적 평면도 ▲몽촌토성 저장 구덩이 ▲몽촌토성 저장 구덩이 <2017. 6. 3>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7.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