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몽촌토성 목책 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몽촌토성 목책 몽촌토성에는 성을 방비하기 위한 구조물인 목책흔적이 발견된다. 그 아래에는 해자를 설치하여 다른 성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목책은 초기 철기 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 동안 적을 방어하기..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7.06.25
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몽촌토성 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몽촌토성 풍납토성과 함께 한성백제시대 하남위례성으로 추정되는 몽촌토성은 토성 내의 마을이름인 '몽촌'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1984~89년에 걸쳐 서울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했다. 이 토성은 가락동과 방이동 일대에 발달한 표고 50m 내외의 자연구릉지의 ..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7.06.24
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풍납토성 한성 백제의 흔적 - 서울 풍납토성 한성백제. 백제가 온조왕에 의해 건국되었을 때부터 고구려 장수왕의 침입에 의해 공주의 웅진성으로 천도하기 전 한성(위례성)에 도읍했던 전체 678년 중 493년 간의 백제를 뜻하는 명칭이다. 지금의 풍납토성 안의 모 아파트 뒷쪽 부지가 당시 백제의 수..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7.06.23
서울 청자닭머리모양항아리 서울 청자닭머리모양항아리 靑瓷鷄首壺 중국 東晉(한성) ▲청자닭머리모양항아리 ▲청자닭머리모양항아리 ▲청자닭머리모양항아리 ▲청자닭머리모양항아리 <2016. 12. 17>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7.01.11
서울 영은문 주초 서울 영은문 주초 모화관(慕華館) 앞에 세웠던 영은문의 주춧돌이다. 모화관은 조선시대에 명나라와 청나라의 사신을 맞았던 객관(客館)으로, 1407년(태종 7)에 처음 건립되어 ‘모화루’로 불렸다. 그 뒤 1430년(세종 12)에 ‘모화관’으로 고쳐 불리고는 그 앞에 홍살문이 세워졌다. 1537년(..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6.10.19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가지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가지 이튿날 아침식사를 마치고 차가 출발하기 전 유스호스텔 옥상의 전망대로 올라갔다. 전망대에서는 서울시내가 한눈에 내려다 보인다. 남산한옥마을도 내려다 보인다. 백제의 시조 온조가 위례성에 도읍을 정한지 2천여년, 태조 이성계가 조선의 도읍을 한양..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4.03.16
서울 인사동 석인상 서울 인사동 석인상 인사동 거리를 거닐다 발견한 어느 골동품 가게에 전시된 석인상이다. 길죽한 바위를 대충 다듬어서 몸통을 만들고 팔과 손 그리고 코는 돋을 새김으로 마감하고 눈과 입은 선각으로 그려넣었다. 머리는 민머리이다. ▲석인상 ▲석인상 <2014. 2. 22>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4.03.15
서울 탑골공원 원각사지 십층석탑 서울 탑골공원 원각사지 십층석탑 조선시대 석탑으로 서울 종로 탑골공원 내에 있다. 탑에 남아 있는 명문에 의하면 원각사지십층석탑은 조선 세조 13년(1467)에 세워졌다. 원각사는 조계종의 본산이었던 흥복사 터를 확장하여 세운 사찰이다. 세조는 사리분신하는 경이로운 일을 겪은 뒤 ..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4.03.14
서울 탑골공원 손병희선생상 서울 탑골공원 손병희선생상 천도교(동학) 지도자이자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본관은 밀양이다. 자(字)는 응구(應九)이며, 망명 중 사용한 가명은 이상헌(李祥憲), 최시형에게 받은 도호(道號)는 의암(義菴)이다. 충청도 청주에서 세금징수를 담당하는 향리의 아들로 태어났다. 1882년 조카..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4.03.13
서울 한양도성 이간수문 서울 한양도성 이간수문 이간수문(二間水門)은 조선초 서울 남산 기슭에서 청계천 본류 쪽으로 흐르는 지천인 남소문동천 위에 세워졌다가 20세기 초 철거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 한양의 물길 통로인 이간수문의 석축 높이는 4m 남짓이며, 수문의 한칸의 너비는 3.3m 정도다. 이간수..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4.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