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정원의 백미 - 서울 창덕궁 후원 부용정 조선 정원의 백미 - 서울 창덕궁 후원 부용정 낙선재에서 중희당 터를 지나 북쪽으로 고개길을 넘어가면 부용지 일곽을 중심으로 드넓은 창덕궁 후원이 펼쳐진다. 현재 부용지 입구는 그 창덕궁 후원의 초입에 해당한다. 이곳에서부터 창덕궁 후원이 시작되며 후원의 곳곳에는 수많은 정..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8.01.04
조선 최고의 교육기관 - 서울 성균관 수복청 조선 최고의 교육기관 - 서울 성균관 수복청 대성전을 관리하는 임무를 맡은 노비들이 숙식하는 공간인 수복청과 제기를 보관하는 창고인 제기고가 있다. 수복청은 비록 노비들이 머무는 공간이지만 대성전 관리라는 중요한 임무를 맡아서 그런지 중앙부서 관아와 비슷한 규모와 형태를 ..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8.01.03
조선 최고의 교육기관 - 서울 성균관 비천당 조선 최고의 교육기관 - 서울 성균관 비천당 비천당은 성균관의 병당으로 재생(齋生)들의 학습장소 또는 임금이 성균관에 친림(親臨)하여 과거를 시행할 때 시험장소로 사용되던 곳이다. 규모는 명륜당(明倫堂)과 같이 남향으로, 중앙에 정청(正廳)이 있고, 좌우에 협실(夾室)이 있는데 모..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8.01.02
조선 최고의 교육기관 - 서울 성균관 명륜당 조선 최고의 교육기관 - 서울 성균관 명륜당 명륜당(明倫堂)은 대성전(大聖殿)과 함께 보물 제141호로 서울 문묘를 이룬다. 태조 7년(1398년) 동시에 건립됐다. 대성전은 문묘의 정전으로 공자 등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는 춘기석전대제 등이 이뤄졌고, 대성전 뒤편에 있는 명륜당은 성균관의 ..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8.01.01
조선 최고의 교육기관 - 서울 성균관 대성전 조선 최고의 교육기관 - 서울 성균관 대성전 성균관 대성전은 남북으로 4영(楹), 동서로 5영의 20칸 규모에 전당후실(前堂後室) 양식이다. 남향으로 직통한 신로(神路) 옆에 어로(御路)가 어삼문(御三門)으로 통했으며, 동계(東階)·서계(西階)가 축조되었다. 동문과 서문이 설치된 대전(大殿..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7.12.07
조선 최고의 교육기관 - 서울 성균관 삼문 조선 최고의 교육기관 - 서울 성균관 삼문 ▲성균관 삼문 ▲성균관 삼문 ▲성균관 삼문 <2017. 10. 28>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7.12.06
한양도성 순성길 - 서울 한양도성 광희문 한양도성 순성길 - 서울 한양도성 광희문 광희문은 태조 5년(1396) 도성 창건 때 동남쪽에 세운 소문이다. 광희문은 실질적인 도성의 남소문으로 이를 흔히 수구문으로 불렀다. 청계천이 흘러 나가는 곳에 세워진 수구가 거리상으로는 광희문보다는 동대문이 가깝지만, 남소문이 장충단공..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7.12.05
한양도성 순성길 - 서울 한양도성 흥인문 한양도성 순성길 - 서울 한양도성 흥인문 흥인문은 한양도성의 축조와 함께 1396년에 처음 지어졌다. 1453년(단종 1년)과 1869년(고종 6년)에 고쳐지었다. 본래 흥인지문은 동대문구에 속했고 구 명칭도 여기에서 유래되었으나, 수차례 행정구역이 조정되면서 지금은 종로구의 관할에 속하게 ..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7.12.04
한양도성 순성길 - 서울 한양도성 혜화문~흥인문 한양도성 순성길 - 서울 한양도성 혜화문~흥인문 ▲한양도성 낙산구간 ▲한양도성 낙산구간 ▲한양도성 낙산구간 ▲한양도성 낙산구간 ▲한양도성 낙산구간 ▲한양도성 낙산구간 ▲한양도성 낙산구간 ▲한양도성 낙산구간 ▲한양도성 낙산구간 ▲한양도성 낙산구간 ▲한양도성 낙산구..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7.12.03
한양도성 순성길 - 서울 한양도성 혜화문 한양도성 순성길 - 서울 한양도성 혜화문 조선왕조가 건국되고 5년 뒤인 1397년(태조 5)에 도성을 에워싸는 성곽을 축조하면서 함께 세워졌으며, 소문 가운데 동문과 북문 사이에 위치하였으므로 '동소문'이라고도 한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익공식(翼工式) 우진각지붕건물. 조선왕조가 건..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7.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