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릉을 찾아서 - 남양주 광릉 정자각
일반적으로 정면 3칸, 측면 1~2칸의 구조를 갖는 맞배지붕의 형태이지만, 익랑을 붙여 다섯 칸 규모로 키우고 팔작지붕을 갖춘 경우(제18대 현종 숭릉)도 있다. 건물 양쪽으로는 ‘동입서출(東入西出)’이라 하여 동쪽에 올라가는 계단[신계神階와 동계東階]이 있고, 서쪽에 내려가는 계단이 하나 있다. 신계와 동계는 신도ㆍ어도와 연결되어 있다. 홍살문에서 신도ㆍ어도를 따라 걸어온 선왕의 영혼과 왕은 동계를 통해 정자각에 오른 뒤 제향이 끝나면 영혼은 정자각 뒷면의 신문으로 나가 신도를 따라 능으로 올라가고 왕만 정자각을 내려오므로 서쪽에는 계단이 하나밖에 없다. 물론 광릉에는 신도ㆍ어도가 없다. 정자각 뒷면의 신문과 신교 그리고 신도는 영혼이 봉분을 향하는 상징적 통로이다.
▲정자각
▲정자각
▲정자각
<2013. 1. 19>
'◈한국문화순례◈ > 한북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릉을 찾아서 - 남양주 광릉 정희왕후릉 (0) | 2013.01.30 |
---|---|
광릉을 찾아서 - 남양주 광릉 세조대왕릉 (0) | 2013.01.29 |
광릉을 찾아서 - 남양주 광릉 홍살문 (0) | 2013.01.27 |
광릉을 찾아서 - 남양주 광릉 금천교 (0) | 2013.01.26 |
광릉을 찾아서 - 남양주 광릉 하마비 (0) | 201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