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법천사터 지광국사 현묘탑비 원주 법천사터 지광국사 현묘탑비 법천사(法泉寺)는 고려 중기의 대표적인 법상종 사찰로 명봉산(鳴鳳山) 자락에 위치해 있다. 이곳에는 당간지주를 비롯하여 지광국사 현묘탑비와 법당터 및 석탑의 일부 등이 남아 있으며, 주변에는 이 절터에서 나온 석재들이 흩어져 있다. 절터의 동편 산 기슭에는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8.07.08
원주 법천사터(法泉寺址) 당간지주 원주 법천사터(法泉寺址) 당간지주 당간지주는 사찰의 입구나 뜰에 세우는 깃대를 지탱하기 위해 세운 두 개의 돌기둥이며, 깃대에는 사찰의 의식이나 행사가 있을 때, 목은 부처 및 보살의 공덕을 기릴 때 깃발을 단다. 법천사터 당간지주는 절터의 남쪽에 위치해 있으며, 높이가 3.9m로 법천사의 규모..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8.07.08
원주 거돈사터 삼층석탑 원주 거돈사터 삼층석탑 이 탑은 2중 기단 위에 3층탑을 세웠으며, 전형적인 신라 삼층석탑의 모습을 보여준다. 다만, 사각의 돌로 된 축대 안에 흙을 쌓고, 그 위에 탑을 세운 점이 특이하다. 탑이 땅과 닿는 부분인 지대석은 4개의 크고 긴 돌로 만들었고, 그 위의 기단부는 위 아래층 모두 모서리기둥 2..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8.07.07
원주 거돈사터 원공국사 승묘탑비 원주 거돈사터 원공국사 승묘탑비 이 비는 고려의 고승 원공국사(930~1018)의 행적을 기록한 비로서 대학자인 최충이 비문을 짓고 김기응이 글씨를 써서 현종 16년(1025)에 세웠다. 이 비 옆에는 원공국사의 부도인 승묘탑이 있었으나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귀부의 거북머리가 용머리같이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8.07.07
원주 거돈사터(居頓寺址) 원주 거돈사터(居頓寺址) 거돈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이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고 한다. 현재 금당터와 불대좌가 남아 있는데 주초석들의 배치상태로 보아 큰 규모의 불전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삼층석탑과 고려 현종 16년(1025)에 건립된 원공국사 승묘탑비가 남아있다. 원공국사 승묘..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8.07.07
화성 용주사 범종 화성 용주사 범종 용주사에 전해오는 범종은 신라 종 양식을 보이는 고려시대 초기에 만들어진 거대한 범종으로, 높이1.44m, 입지름 0.87m, 무게 1.5톤이다. 이 동종은 신라종의 구조와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으나 상대에 반원형 문양이 장식된 점, 당좌가 아래쪽으로 내려와 구연부에 가깝게 배치된 점,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8.02.07
화성 용주사(龍珠寺) 화성 용주사(龍珠寺) 불교를 억제하던 조선시대에도 생활 속에 오랫동안 젖어있던 불교 관습을 다 버릴 수는 없었고 왕실 또한 예외는 아니었다. 나라에서 사찰 건립을 공식적으로 억제했으나 능찰(陵刹)만은 예외였다. 능찰은 조포사(造泡寺)라고도 불렀는데, 두부를 만드는 절이라는 뜻으로 왕릉에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8.02.07
화성 융건릉 - ②건릉(健陵) 화성 융건릉 - ②건릉(健陵) 건릉(健陵)은 조선 22대왕 정조와 효의왕후를 합장한 능으로 융릉의 서쪽 언덕 너머에 자리잡고 있다. 1800년 6월 28일 보령 49세로 정조가 승하하자 11월 6일 정조의 유언에 따라 아버지 사도세자가 잠들어 있는 현륭원 동쪽 두번째 산줄기 언덕에 안장되었다. 그 후 21년 뒤 순..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8.02.06
화성 융건릉 - ①융릉(隆陵) 화성 융건릉 - ①융릉(隆陵) 융건릉(隆健陵)은 조선 21대 왕 영조의 둘째 아들이며 사도세자로 더 잘 알려진, 정조의 아버지 장헌세자(추존황제 장조)와 혜경궁 홍씨(추존 헌경의왕후)가 잠들어 있는 융릉(隆陵), 정조와 효의선황후가 잠들어 있는 건릉(健陵)을 합쳐서 부르는 이름이다. 융건릉의 주산인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8.02.05
원주 영전사터 보제존자탑지 원주 영전사터 보제존자탑지(普濟尊者塔志) <국립춘천박물관> 고려 말의 고승 보제존자 나옹혜근(普濟尊者 懶翁惠勤 : 충숙왕 7, 1320~우왕 2, 1376)의 탑에 봉안한 탑지이다. 탑지라는 명칭에서 생각해 볼 때 나옹에 대한 기념비가 회암사와 신륵사에 있으므로 나옹의 승탑을 불탑과 동일한 형태로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7.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