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전흥법사터 염거화상탑지 원주 전흥법사터 염거화상탑지(廉居和尙塔志) <국립춘천박물관> 이 탑지(塔誌)는 844년(문성왕文聖王 6)에 조성되었다. 이 탑지가 발견된 탑은 본래 강원도 원주군(原州郡) 지정면(地正面) 안창리(安昌里) 흥법사터(興法寺址)에 있던 것으로서 일제시대에 서울 탑골공원으로 이전되었다고 한다. 그..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7.06.07
원주 출토 석조광배(石造光背) 원주 출토 석조광배(石造光背) <국립춘천박물관> 원주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지는 이 광배는 비록 불상은 남아있지 않자만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제작된 매우 아름다운 광배이다. 화강암을 재질로 하여 윗부분이 뾰족하게 솟아오른 보주형의 거신광이다. 두광 안에는 꽃술 장식이 표현된 화..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7.06.07
이천 안흥사터 오층석탑 이천 안흥사터(安興寺址) 오층석탑 <국립중앙박물관> 이 탑은 2층 기단 위에 5층의 탑신과 상륜부가 있는 일반적인 형태이다. 탑신 높이는 2층부터 급격히 줄어들며, 처마 틴 층급받침은 네 단인 5층을 제외하고 모두 다섯 단을 이루고 있다. 상륜부는 네모난 모양의 노반만 남아있다. 탑의 세부 수..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6.07.26
원주 영전사터 보제존자 사리탑 원주 영전사터(令傳寺址) 보제존자(普濟尊者) 사리탑 <국립중앙박물관> 보제존자 나옹(懶翁 1320~1376)의 사리를 모시기 위해 고려 우왕 14년(1388)에 세운 승탑이다. 보통 승탑이 팔각 집 모양이거나 종 모양을 띠는 것에 비해 이 승탑은 특이하게 불탑과 같이 네모난 형태의 두 탑으로 이루어져 매우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6.07.26
원주 천수사터 삼층석탑 원주 천수사터(泉水寺址) 삼층석탑 <국립중앙박물관> 탑의 몸체를 받치고 있는 기단부는 통일신라시대 석탑에서 보이는 2층 기단형식이다. 탑신부 몸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졌으며, 1층과 2층 탑신 아래에는 굄돌이 놓여져 있다. 지붕 처마 층단받침은 4단으로 되어있고 지붕의 윗면은 경사..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6.07.25
원주 천수사터 오층석탑 원주 천수사터(泉水寺址) 오층석탑 <국립중앙박물관> 하층기단 갑석 아래의 부재는 없어졌다. 각각의 탑신부 몸돌은 한개의 돌로 이루어졌으며, 2층 몸돌부터는 그 높이가 급격히 낮아진다. 지붕 처마에는 각 층마다 3단의 받침이 있으며, 네 모서리에는 풍경의 일종인 풍탁을 단 구멍이 네개씩 남..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6.07.25
수원화성 봉돈 일곽 수원화성 봉돈 일곽 *팔달문 *동남각루 *동남각루 *제2동포루(鋪樓) *봉돈(烽墩) *봉돈 *봉돈 *봉돈 *동포루(砲樓) *동포루(鋪樓) *동포루(鋪樓) <2005. 1. 15>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6.02.03
수원화성 화양루 일곽 수원화성 화양루 일곽 *서남암문 내부 *서남암문 외부 *용도(甬道) *용도와 화양루 *화양루(西南角樓) *화양루(華陽樓) *화양루의 마루 *남포루(砲樓) *남치 *남치 *남치 부근의 성곽 <2006. 1. 15>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6.02.03
수원화성 서장대 일곽 수원화성 서장대 일곽 *서장대(일명 화성장대) *서장대 *외간 *서노대(弩臺) *서암문 *서암문 부근의 성벽 *서암문 부근의 성벽 *서포루(鋪樓) *서3치(雉) <2006. 1. 15>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6.02.02
수원화성 화서문 일곽 수원화성 화서문 일곽 *서북공심돈 *서북공심돈 *서북공심돈 *서북공심돈 *화서문 *화서문의 옹성과 서북공심돈 *서북각루 *서1치(西一雉) <2006. 1. 15>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6.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