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영월루(迎月樓) 여주 영월루(迎月樓) 여주읍에서 신륵사를 향해 접어들면 길 오른쪽으로 마암(馬巖)이라 불리는 큰 바위가 있다. 이 큰 바위 언덕에 있는 고풍스런 누각으로, 누에 오르면 푸른 강물과 신륵사의 전경이 그림처럼 펼쳐지고 시원스레 탁 트인 전망으로 가슴까지 후련해진다 . 영월루는 원래 군청의 정문..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0.02.08
여주 하리 삼층석탑 여주 하리 삼층석탑 원래는 하리지역의 옛 절터에 있던 것을 1958년 창리의 3층석탑과 함께 현재의 터로 옮긴 것으로, 단층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얹은 모습이다. 이 탑의 아래층 기단 갑석은 경사지면서 윗쪽에 2단의 받침을 세겼다. 윗층 기단 각 면에 모서리기둥이 새겨져 있다. 탑신은..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0.02.07
여주 창리 삼층석탑 여주 창리 삼층석탑 원래 창리지역 과수원 안의 옛 절터에 있던 것을 1958년 현재의 터로 옮긴 것이다.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일반적인 형태이나 그 느낌이 독특하다. 하층기단의 4면에는 안상(眼象)이 2개씩 새겨져 있는데, 움푹한 무늬의 바닥선이 꽃모양처럼 솟아올라 있어 당..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0.02.07
조선왕릉 순례 - 여주 효종 영릉(寧陵) 조선왕릉 순례 - 여주 효종 영릉(寧陵) 영릉은 조선 제17대 임금 효종과 비 인선왕후의 쌍릉이다. 왕릉과 왕비릉이 한 언덕에 같이 있는 경우 대개는 봉분을 나란히 두는 쌍릉의 형식을 택하는데, 영릉은 특이하게도 왕릉과 왕비릉이 상하로 조영되어 있다. 이는 풍수지리적 이유에서 비롯된 것으로 왕..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0.02.02
조선왕릉 순례 - 여주 세종 영릉(英陵) 조선왕릉 순례 - 여주 세종 영릉(英陵) 조선왕조 제4대 임금인 세종과 왕비 소헌왕후 심씨(沈氏)의 능으로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에 있다. 원래 영릉은 소헌왕후가 죽은 1446년(세종 28) 광주(廣州) 헌릉 서쪽에 조성하여 그 우실(右室)을 왕의 수릉(壽陵)으로 삼았다가 1450년 왕이 죽자 합장했다. 이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0.02.02
원주 출토 금동불입상 원주 출토 금동불입상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몸체의 굴곡과는 상관없이 선새김 자체를 하나의 조형요소로 여긴 듯 자유분방함을 보인다. 길게 늘어진 눈꼬리와 작은 입의 표현은 토착화, 지방화되는 통일신라 말기의 조각 양식이다. 속옷의 바둑판무늬나 팔을 몸에 붙여서 45도 각도로 비스듬..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9.04.19
원주시립박물관 석인(石人) 원주시립박물관 석인(石人) <원주시립박물관> 석인은 능묘(陵墓) 앞에 세우는 사람 형태의 석조물이다. 석수(石獸)와 함께 능묘를 수호하는 능묘조각의 하나로, 공복(公服) 차림인 문관 형상의 문인석(文人石)과 갑옷, 무기로무장한 무관 형상의 무인석(武人石)이 있다. 석인은 중국 당나라의 영향..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8.08.16
원주 법천리 출토 토기소호(土器小壺) 원주 법천리 출토 토기소호(土器小壺) <원주시립박물관> ▲토기소호(土器小壺, 삼국시대) <2008. 6. 8>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8.08.16
원주 법천리 출토 깊은바리(深鉢形土器) 원주 법천리 출토 깊은바리(深鉢形土器) <원주시립박물관> ▲깊은바리(深鉢形土器, 백제시대 4세기) <2008. 6. 8>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8.08.16
원주시립박물관 토제바리형기대(土製鉢形器臺) 원주시립박물관 토제바리형기대(土製鉢形器臺) <원주시립박물관> ▲토제바리형기대(土製鉢形器臺, 삼국시대) ▲무늬 <2008. 6. 8>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08.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