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박물관 소장 청자철회초문병 충주박물관 소장 청자철회초문병 <충주박물관> 당초문이 시문된 청자광구병으로 초문이 아래족에서 위를 돌아 다시 아래로 내려간 독특한 모습이다. ▲청자철회초문병(靑磁鐵繪草紋甁, 고려시대) <2008. 5. 11>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08.07.27
충주박물관 소장 청화백자칠보문항아리 충주박물관 소장 청화백자칠보문항아리 <충주박물관> 몸통부에 청화안료로 칠보문을 시문한 백자항아리이다. 특히 칠보문은 일반적인 칠보문이 아니라 도교사상에 입각한 칠보문이다. ▲청화백자칠보문항아리(▲靑華白磁七寶紋壺, 조선시대) ▲칠보문(七寶紋) <2008. 5. 11>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08.07.27
청주 흥덕사터 출토 금구 탁본 청주 흥덕사터 출토 금구 탁본 <충주박물관> ▲금구(禁口) ▲금구(禁口) ▲금구(禁口) ▲금구(禁口) ▲금구(禁口) <2008. 5. 11>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08.07.27
충주박물관 소장 신선로(神仙爐) 충주박물관 소장 신선로(神仙爐) <충주박물관> 상위에 올려놓고 열구자를 끓이는 조리도구이자 그 자체가 그릇이다. 중앙에 숯을 담는 통이 있으며 둘레에 여러가지 음식물을 넣고 끓인다. 신선로는 궁중요리의 대명사 신선로(神仙爐)는 열구자탕(悅口子湯), 구자탕, 탕구자라고도 한다. 여러 가지..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08.07.15
충주박물관 소장 백자향로 충주박물관 소장 백자향로 <충주박물관> 향을 피우는 그릇으로 불구(佛具)의 하나이다. 뚜껑에 뚫린 구멍으로 연기가 나온다. 이집트·유대교를 포함한 고대 중동문명, 고대 그리스·라틴 문화권에서도 사용되었지만 동양에서 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인도에서는 사람의 체취나 방안의..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08.07.15
충주박물관 소장 백자각병 충주박물관 소장 백자각병 <충주박물관> 평명 8각형의 순백자병으로 목부분을 길게 만든 주병이다. ▲백자각병(조선시대) <2008. 5. 11>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08.07.15
충주박물관 소장 '忠州府'銘 착즙기 충주박물관 소장 '忠州府'銘 착즙기 <충주박물관> 충주부에서 사용하던 착즙기로 모양이 특이하다. 윗면에 충주부(忠州府)라고 전각하였으며 옆으로 나 있는 구멍을 통해서 액즙이 흘러나온다. ▲'충주부명' 착즙기(조선후기) <2008. 5. 11>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08.07.15
충주박물관 소장 자라모양토기병(鰲形土器甁) 충주박물관 소장 자라모양토기병(鰲形土器甁) <충주박물관> 회흑색의 자라모양 토기병으로입이 옆으로 나 있고 바닥은 편평하다. ▲자라모양토기병(鰲形土器甁, 고려시대) <2008. 5. 11>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08.07.15
단양 신라 적성비(赤城碑) 단양 신라 적성비(赤城碑) 적성비는 삼국시대에 신라가 죽령을 넘어 단양 일대의 고구려 영토를 차지하여 국경을 넓히고, 이곳의 백성들을 선무한 표적으로 세운 것으로, 1978년 단국대학교 학술조사단에 의해 발견 조사되었다. 당시 진흥왕이 명하여 신라 척경(국경개척)을 돕고 충성을 바친 적성사람 ..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08.07.11
단양 신라 적성(赤城) 단양 신라 적성(赤城) 적성(赤城)은 신라 진흥왕 545~551년경에 축조된 산성으로 둘레가 약 900m였으나 대부분 붕괴되었고, 겹으로 쌓은 동북쪽의 안벽 등 일부만 남아있다. 삼국시대의 산성으로는 비교적 큰 규모에 속하며 신라와 고구려의 세력관계 변동을 알아보는데 큰 의미를 가진다. 성내에서 신라..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08.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