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55

청주 용정동 '順治'銘 석불입상

청주 용정동 '順治'銘 석불입상 이 석불입상은 돌기둥 처럼 생긴 자연석을 높이 316cm, 머리높이 70cm 크기로 깎아 얼굴과 상체를 조각한 불상으로 마치 장승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불상은 이마의 큰 백호가 인상적이고, 눈썹은 길고 큼직하게 표현하였으며, 눈은 내려 뜬 모양으로 눈두덩을 도드라지게 ..

직지의 고향 - 청주 흥덕사터 치미(鴟尾)

직지의 고향 - 청주 흥덕사터 치미(鴟尾) <국립청주박물관> 치미는 금당터 북편에서 거의 일괄 출토되었는데 금당이 소실되면서 떨어진 자리에 지금까지 별 이동없이 묻혀 있었던 듯하다. 전체의 높이는 1.5m 이상일 것으로 추정되어 이 사찰건물의 웅장한 모습을 잘 나타내 주는 것이다. 짙은 회색..

직지의 고향 - 청주 흥덕사터 도깨비얼굴무늬기와

직지의 고향 - 청주 흥덕사터 도깨비얼굴무늬기와 <국립청주박물관> 귀면와당은 금당터 북서편 기단부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체적으로 회색을 띠고 있으며 마멸된 부분에는 약간씩 검은색이 보인다. 대토는 흥덕사터에서 출토된 와당 가운데 가장 정선된 것으로 모래가 거의 섞이지 않았다. 현재 ..

직지의 고향 - 청주 흥덕사터 용머리모양간두

직지의 고향 - 청주 흥덕사터 용머리모양간두 <국립청주박물관> 절에서 법회 등 큰 행사가 있을 때 불교그림(佛畵)을 걸기 위해 마련한 깃대를 당간이라 부른다. 당간은 긴 돌을 양쪽에 세워 지주로 삼고, 그 사이에 나무기둥이나 청주 용도사터 철당간 처럼 철통을 연결한 당간을 세..

직지의 고향 - 청주 흥덕사터 '大中三年'銘 기와

직지의 고향 - 청주 흥덕사터 '大中三年'銘 기와 <국립청주박물관> ‘대중3년(大中三年)’이라는 명문이 있는 기와조각이다. 상하단에 어골문이 시문된 평와의 중간부에 장방형의 구획을 정하고 좌종서로 명문이 양각되어 있다. ‘대중’은 당 선종의 연호로 대중3년은 서기 849년에 해당되며, 신라..

직지의 고향 - 청주 흥덕사터 '桂香之寺'銘 기와

직지의 고향 - 청주 흥덕사터 '桂香之寺'銘 기와 <국립청주박물관> ‘계향지사(桂香之寺)’라는 명문이 있는 기와조각이다. 어골문(魚骨紋)이 새겨진 평와의 문양 하단에 양각선으로 세로간 긴 장방형의 구획을 정하고 좌종서(左從書)의 4자 2열로 양각되어 있다. 현재 이 기와조각에는 좌우로 나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