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박물관 소장 석조나한상 충주박물관 소장 석조나한상 <충주박물관> 호랑이를 안고 있는 나한상으로 누썹이 길게 늘어져 있다. ▲석조나한상(조선시대) ▲석조나한상(호랑이 부분) <2008. 5. 11>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08.07.10
충주박물관 소장 석조불두 충주박물관 소장 석조불두 <충주박물관> 육계가 표현되었으며 머리는 나발형이다. 얼굴은 살이 찐 모습이며 이마에 백호공이 있고 눈은 살며시 떴으며 입은 꼭 다문 모습이다. ▲석조불두(고려시대) <2008. 5. 11>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08.07.10
충주박물관 소장 석조여래좌상 충주박물관 소장 석조여래좌상 <충주박물관> 항마촉지인의 여래좌상으로 나발에 육계가 표현되었다. 우견편단의 옷주름은 도식적이다. 다리는 결가부좌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단아한 모습이다. ▲석조여래좌상(고려시대) ▲석조여래좌상(고려시대) ▲불두(고려시대) <2008. 5. 11>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08.07.09
충주 용탄동 절터 출토 석조인물상군 충주 용탄동 절터 출토 석조인물상군 <충주박물관> 일산을 든 사람과 앉아있는 사람,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 없는 물건을 세워든 사람 등, 총 6구의 인물을 묘사하였는데 어떤 장면을 묘사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석조인물상군(고려시대) ▲석조인물상군(부분) ▲석조인물상군(부분) ▲석조인물..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08.07.09
음성 덕정리 출토 금동불입상 음성 덕정리 출토 금동불입상 <충주박물관> ▲금동불입상(통일신라시대) ▲금동불입상(통일신라시대) <2008. 5. 11>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08.07.09
충주 중원 탑평리 칠층석탑 충주 중원 탑평리 칠층석탑 탑평리 칠층석탑은 남한강(南漢江) 상류(上流)의 강가 높은 토단 위에 건립(建立)된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의 유일한 7층의 거탑(巨塔)으로 높이 14.5m이다. 이 탑이 건립된 지점이 우리나라의 거의 중앙이라고 하여 속칭 중앙탑이라고 부른다. 이 탑은 1917년에 해체 보수..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08.07.04
충주 성불사 석불좌상 충주 성불사 석불좌상 <충주박물관> 불신에 덧칠을 하여 변형이 보이나 원래의 모습을 짐작할 수는 있다. 과장된 육계와 오른쪽 손목이하 부분은 시멘트를 이용하여 보수한 것으로 보인다. 머리는 큰 편이고 이목구비가 어렴풋이 확인되며 어깨는 당당하다. 목 아래 목걸이를 표현하였으며 우견편..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08.07.03
충주 대전리 문인석 충주 대전리 문인석 <충주박물관> 비교적 큰 규모의 문인석으로 관복의 옷주름이 몸체 가운데 손으로 쥐고 있는 홀(笏)을 중심으로 정연히 좌우대칭으로 되어 잇다. 귀는 어깨가지 닿아서 다소 크게 표현하였으며 얼굴도 비교적 풍만상이다. 이 문인석은 동량면 대전리 부근 묘소 주변에 묻혀져 있..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08.07.03
충주 봉황리 석탑재 충주 봉황리 석탑재 <충주박물관> 현재 몸돌과 지붕돌 2개식만 남아있는 석탑이다. 몸돌에는 가면에 보서리 기둥을 나타내었고 몸돌 4면에 모두 불상을 부조하여 총 8구의 불상을 표현하였는데 마모가 심한 편이나 결가부좌에 선정인을 취한 것으로 보인다. 윗층 몸돌 윗면에는 4각의 홈이 패여 있..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08.07.03
충주 용관동 삼층석탑 충주 용관동 삼층석탑 <충주박물관> 4매의 화강암을 조립하여 기단부를 조성하였는데 각면에는 모서리 기둥만 새겨져 있다. 현재 기단석 위로는 지붕돌만 3기 남아 있으며 지붕돌의 층급받침은 4단식이다. 또한 각각의 지붕돌 4귀에는 풍령공의 홈이 보이며 3층 지붕돌 윗면에도 찰주공으로 보이는..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08.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