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하회마을 충효당(忠孝堂) 안동 하회마을 충효당(忠孝堂) 하회마을에 있는 조선 중기의 상류주택으로 조선 선조 때 명재상 서애 유성룡(柳成龍:1542~1607)의 집으로, 임진왜란 이후에 장자인 여가 재건한 것을 증손 의하(宜河)가 확장·중수했다. 유성룡 선생은 여러 벼슬을 두루 거치고 임진왜란 때에는 영의정으로 전쟁의 어려..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8.09.21
안동 하회마을 담연재(澹然齋) 안동 하회마을 담연재(澹然齋) 담연재는 서애 류성룡의 12대손이자 탤런트 류시원의 아버지 류선우씨의 저택으로 ‘맑고 편안한 마음으로 학문을 익히면 지혜와 뜻이 널리 퍼진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1999년 4월 한국을 방문한 영국 엘리자베스여왕이 생일상을 받았고 여왕이 하회탈춤을 관람하여..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8.09.20
안동 하회마을 류시주 가옥 안동 하회마을 류시주 가옥 북촌의 서단 강안(江岸)근접지에 위치한다. 전후면 모두 필요에 따라 고저를 두어 난저(亂積)한 막돌석축(石築)을 돌렸는데 전면의 석축은 좌단 부엌으로부터 우단의 사랑방에 이르면서 점차 높아져 있다. 우단의 사랑방을 제외한다면 방, 마루, 방, 부엌의 순으로 이루어지..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8.09.19
안동 하회마을 주일재(主一齋) 안동 하회마을 주일재(主一齋) 남촌의 충효당 뒷편 골목에 자리잡고 있는 남향(南向)집이다. 이 집은 서애 류성룡선생의 증손(曾孫) 류만하(柳萬河)공이 충효당에서 분가할 때 지은 것으로 그의 아들 주일재(主一齋) 류후장(柳後章, 1650∼1706)공이 증축하였다. 류후장공은 주역(周易)에 능통하였고 퇴계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8.09.18
안동 하회마을 남촌댁(南村宅) 안동 하회마을 남촌댁(南村宅) 남촌댁은 충효당과 함께 하회마을의 남촌을 대표하는 주택이다. 조선 정조 21년(1797)에 형조좌랑 류기영이 건립한 것인데 1954년 화재로 일부가 타버리고, 현재는 문간채와 행랑, 사당만이 남아 있다. 건립 당시에는 대문채, 몸채, 별당, 사당이 있는 전형적인 양반주택이었..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8.09.17
예천 동본리 석조여래입상 예천 동본리 석조여래입상 동본리 석조여래입상은 높이 346cm로 원래는 무릎 이하가 땅 속에 묻혀 있었으나 1960년에 신도들이 발굴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괴량감(塊量感)이 넘치는 신체, 평판적인 상체, 좀 어색한 자세이면서 네모진 얼굴 등에서 그 당시의 서 있는 불상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 같..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8.06.17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예천읍 남북을 흐르는 한천의 둑 안쪽 근처의 주택가 한켠의 석불입상 앞에 위치하고 있다. 탑과 불상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절터였음이 분명하지만, 절 이름은 알 수 없다. 이 탑은 높이 4,0m이며, 탑의 규모가 크지 않으나 짜임새를 갖춘 아름다운 탑이다. 또 석재(石材) 구성(..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8.06.16
예천 개심사터 오층석탑 예천 개심사터 오층석탑 고려 초기에 처음 건립된 개심사에 위치해 있던 탑으로 높이가 4.3m이고, 이중 기단 위에 5층의 몸돌을 올렸다. 상층기단 덮개돌 밑에 새겨진 '통화 27년 경술년(統和二十七庚戌年)'이라는 석탑기에 의하여 이 탑이 고려 현종(顯宗) 원년(1011)에 건립된 것을 알 수 있다. 몸돌부가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8.06.15
청송 침류정(枕流亭) 청송 침류정(枕流亭) 침류정(枕流亭)은 조선 중기의 학자 김성진(金聲振, 1558~1634)의 정자로 17세기 건물로 추정된다. 김성진은 의성김씨 청송 입향조인 김한경의 증손으로 학식이 높고 효행이 지극하였으며 임진왜란을 당하자 동생들을 창의케 하고 자신은 노모를 무사히 피난 시켰으며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11.01
청송 추원당(追遠堂) 청송 추원당(追遠堂) 추원당(追遠堂)은 의성김씨 청송 입향조인 김한경(金漢卿, 1456~1552)의 묘 아래에 세운 재사이다. 건립연대는 잘 알 수 없으나 18세기의 건축물로 추정된다. 김한경은 조선 세조 2년(1456) 개성 풍덕에서 태어나 제용감정(濟用監正)에 올라 중종 원년(1506)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