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영호루(映湖樓) 안동 영호루(映湖樓) 우리나라 4대 누각 가운데 하나인 영호루는 창건에 관한 문헌이 없어 언제 누구에 의해 건립되었는지 알 수 는 없지만, 고려 초기인 1274년 김방경 장군이 누에 올라 시를 읊엇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고려 공민왕 10년(1361) 홍건적의 난을 피해 안동에 왔..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8.10.01
안동 옥동 삼층석탑 안동 옥동 삼층석탑 안동시 평화동에 있는 3층 석탑으로, 탑이 주변에 민가가 들어서 있어 절터의 흔적은 찾을 수 없으며, 절이름 또한 알 길이 없다. 문화재 지정 당시의 지명이 옥동이어서 옥동삼층석탑으로 불린다. 옥동 삼층석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높이는 5.79M이다. 이중 기단 위에 3층의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8.09.30
안동 채화정 안동 채화정 채화정은 진사 이민적(李敏迪, 1702~1763)이 학문을 닦기 위해 마련한 정자이다. 순조 때 용눌재 이한오가 노모를 모시고 거처하기도 하였다. 정자 앞에 위치한 삼신선을 상징하는 3개의 인공연못이 정자와 잘 어울린다. 이 정자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락집이다. 닐반적으로 방 앞쪽에 퇴칸..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8.09.29
안동 하리 삼층모전석탑 안동 하리 삼층모전석탑 하리 삼층석탑은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높이는 3.25m이다. 이 일대는 절터일 가능성도 있으나 흔적을 확인할 수 없다. 기단면석은 자연암석을 그대로 이용했기 때문에 암반인 지반과 함께 정제되어 있지 못한 형식이다. 기단 덮개돌(甲石)은 대반석(大盤石)이며 그..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8.09.28
안동 예안이씨 종택(忠孝堂) 안동 예안이씨 종택(忠孝堂) 이 집은 예안이씨 16세손 근재공(近齋公)의 둘째 아들 풍은(豊隱) 이홍인(李洪仁, 1525~1594)의 종택으로 조선 명종 16년(1551)에 건축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홍인은 무예와 병법에 능숙하였는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풍천(豊川)에서 왜적과 싸우다 순국하였다. 이에 나라로..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8.09.27
안동 하회마을 빈연정사(賓淵精舍) 안동 하회마을 빈연정사(賓淵精舍) 빈연정사는 겸암 류운용(謙菴 柳雲龍, 1539~1601)이 조선 선조 16년(1583)에 지어서 서재로 사용하던 정사이다. 당호는 부용대 절벽 아래의 깊은 물을 빈연(賓淵)이라 불렀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왼쪽 1칸에는 앞뒤로 온돌방을 두고 오른쪽의..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8.09.26
안동 하회마을 원지정사(遠志精舍) 안동 하회마을 원지정사(遠志精舍) 원지정사는 조선 선조 6년(1573) 서애 류성룡(西厓 柳成龍, 1542~1607)이 옥당(玉堂) 홍문관(弘文館) 재직 중 부친상을 당하자 고향에 내려와 지내면서 세운 정사이다. 화천 건너 보이는 원지산을 바라보고 있다고 하여 원지정사라 이름 붙였다고 한다. 정조 5년(1781)에 다..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8.09.25
안동 하회마을 북촌댁(北村宅) 안동 하회마을 북촌댁(北村宅) 조선 중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류사춘(柳師春)이 정조 21년(1797)에 작은 사랑과 좌우익랑을 건립한 것이 이 집의 시초이다. 그후 경상도도사(慶尙道都事)를 지낸 그의 증손인 석호(石濠) 류도성(柳道性)이 철종 13년(1862)에 안채, 큰사랑, 대문간, 사당을 건립하..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8.09.24
안동 하회마을 초가(草家) 안동 하회마을 초가(草家) 하회마을은 건축박물관이라고 할 만큼 여러가지 양식의 집들이 시대별, 양식별로 갖추어져 있다. 솟을대문을 갖춘 거대한 규모의 종가들 외에도 예사마을에서는 쉽사리 볼 수 없는 규모있는 와가들이 옛모습 그대로 남아있다. 하회에서는 이들 와가들보다 더 돋보이는 집들..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8.09.23
안동 하회마을 삼신당(三神堂) 안동 하회마을 삼신당(三神堂) 자연 신앙시대 하회마을 사람들의 기도 드리는 장소 5개 당중의 하나로서 인간의 출산과 성장을 빌던 곳으로 대상물인 느티나무가 600년이 넘게 하회마을과 마을 사람들을 지켜준 나무이다. 더구나 그 나무에 박혀 있는 탑신(돌)은 그 부근에 신라시대 사찰인 연사(硯寺)..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8.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