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 화천리 삼층석탑 영양 화천리 삼층석탑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에 쌓은 것으로 추정되는 삼층석탑이다. 이중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이 탑은 인근의 영양 현동 삼층석탑과 같이 당시의 다른 탑에 비해 조각이 많은 편이다. 이 탑의 높이는 4.36m인데 아래층 기단부에는 십이지신상이, 상층 기단부에는 팔부신중상, 그..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08.01
영양 사월종택 영양 사월종택 낙동강의 지류인 반변천의 상류 옥선대가 바라보이는 뛰어난 경승지에 자리잡은 이 집은 사월 조임(沙月 趙任) 공이 조선 선조 35년(1602)에 세운 것이라 전한다. 임진왜란에도 병화를 면하여 원래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고 가내에 전하여 오지만 월담헌은 그런 고식을 지니지 않았다. 다..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08.01
영양 용화광산 선광장터 영양 용화광산 선광장터 이 곳은 일제가 광물 수탈을 목적으로 1939년부터 약 40년간에 걸쳐 일월산 일대에서 채굴한 광석을 이곳으로 옮겨 유용광물인 금, 은, 동, 연, 아연을 생산하던 선광장 및 제련소였던 곳이다. 지역사회와 국가발전에 크게 기여한 광산이다. 당시에는 종업원 수가 500여명에 달하..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07.31
영양 용화리 삼층석탑 영양 용화리 삼층석탑 이 석탑은 통일신라시대 석탑으로 이중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건립하였다. 탑신에는 우주가 양각되었고 1층과 2층의 옥개석에는 4단의 받침이 있으며, 3층 옥개석에는 3단의 받침이 있고 상륜부는 모두 없어졌다. 탑의 높이는 3.41m로 안정감을 주는 단아한 탑이다. *용화리 삼층석..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07.31
영양 삼지동 모전석탑 영양 삼지동 모전석탑 영양읍내에서 동북쪽으로 약 3km정도 떨어진 삼지리 뒷산 중턱에 연대암이라는 조그만 암자가 자리잡고 있다. 이 암자는 산중턱의 급한 경사지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찰의 터가 좁아 이렇다 할 전각 하나 들어앉을 여유가 없다. 절벽을 이룬 산 중턱에 돌출된 높이 2.9m의 자연암반..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07.30
영양 현동 삼층석탑 영양 현동 삼층석탑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 9세기 경에 세워진 탑으로 높이는 4.27m로 이중기단 위에 3층으로 건립되어 있다. 하층기단에는 십이지신상이, 상층기단에는 팔부신중상이 조각되어 있고, 1층 몸돌에는 사천왕상이 조각되어 있다. 이탑은 가까운 화천리에 있는 3층석탑과 함께 조각장식이 많..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07.29
영양 현동 당간지주 영양 현동 당간지주 통일신라시대의 당간지주로 높이는 210cm이다. 현재는 두 개의 지주 가운데 서쪽의 것은 부러져 없어지고 동쪽의 것만 남아있다. 이곳 당간지주는 위에서 아래로 굵어지는 네모꼴 화강암으로 된 돌기둥으로, 기둥 바깥면의 중앙에 종선문(縱線文)을 새겨 장식했고, 정상 부근에는 활..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07.28
영양 현동 오층모전석탑 영양 현동 오층모전석탑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오층 모전석탑이다. 커다란 암반 위에 높이 3.2m의 바위를 기단으로 축조된 이 탑은 벽돌 모양으로 자른 검붉은 점판암으로 5층을 쌓았다. 전체 높이는 6.98m에 달한다. 기단 위에는 낮은 1단의 장대석으로 지대석을 조성하였다. 1..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07.27
영양 남이포와 선바위(立岩) 영양 남이포와 선바위(立岩) 남이포(南怡浦)는 영양 일월산 동쪽에서 발원한 반변천과 서쪽에서 발원한 청계천이 합수되는 곳이다. 남이포 건너편에 촛대처럼 솟아 있는 바위는 선바위라고 부른다. 선바위는 경상북도 영양군지지(英陽郡地誌)에 자양산의 끝인 자금병과 함께 석문이라 하였으며 옛부..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07.26
영양 연당동 석불좌상 영양 연당동 석불좌상 이 불상은 대좌와 광배를 모두 갖추었는데 손상이 다소 있지만 9세기 불상 계열을 따른 통일신라 말기의 작품이다. 얼굴은 손상이 있어 분명하지 않지만 띠주름식의 삼도가 분명한 목, 사각형의 신체, 반듯한 어깨와 좁아진 무릎 등 경직된 자세를 나타내고 있다. 손 모양은 항마..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