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 창양리 후송당(後松堂) 청송 창양리 후송당(後松堂) 후송당(後松堂) 은 현 소유자 조창래의 조부인 후송(後松) 조용정(趙鏞正)이 건립하였다. '一'자형인 안채와 'ㄴ'자형의 중문간채 그리고 'ㄴ'자형의 사랑채가 안마당을 감싸고 있어 건체적으로 '튼口'자 형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안채는 1947년에 세운 건물로 우측부의 부엌..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11.01
청송 방호정(方壺亭) 청송 방호정(方壺亭) 방호정(方壺亭)은 조선 광해군 7년(1615)에 지어진 것으로 창석(蒼石) 이준(李埈), 동계(東溪) 조형도(趙亨道), 풍애(風崖) 권익(權翊), 방호(方壺) 조준도(趙遵道), 하음(河陰) 신집(申輯) 등이 학문을 강론하고 산수를 즐기던 곳이다. 동왕 11년(1619) 방호 조준도가 생모 권씨의 묘가 바..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10.31
청송 오체정 청송 오체정 오체정은 영양남씨 청송 입향조 운강공(雲岡公) 남계조(南繼曺)의 현손(玄孫) 5형제(自熏, 應熏, 有熏, 必熏, 是熏)의 뛰어난 효향과 우애를 길이 추모하기 위하여 자훈의 손자 남도성(南道聖)이 제종(諸宗)들과 합의하여 1774년경 지은 정자라 전한다. 오체란 시경 체회시에서 따온 말로 오형..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10.31
청송 주산지(注山池) 청송 주산지(注山池) 주산지는 조선 경종원년(1720) 8월에 착공하여 그 이듬해 10월에 준공한 길이 200m, 넓이 100m, 수심 8m의 아담한 호수이다. 준공 이후 지금까지 아무리 오랜 가뭄에도 물이 말라 하상이 드러난 적이 한번도 없었다고 한다. 또한 호수 속에는 수령이 약 150여년 되는 왕버들 30여 그루가 자..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10.30
군위 대율리 석불입상 군위 대율리 석불입상 이 불상은 둥근 대좌 위에 서 있는 높이 2.65m의 완전한 석불입상인데 광배는 없다. 낮고 넓은 육계, 둥글고 우아한 얼굴, 작고 아담한 눈과 입, 어깨까지 내려진 긴 귀 등 새련된 면모를 과시하고 있다. 오른손은 외장하여 여원인을 짓고 있는 반면, 왼좃은 내장하여 가슴에 대고 있..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10.29
군위 한밤마을 상매댁(上梅宅) 군위 한밤마을 상매댁(上梅宅) 한밤마을은 부림홍씨(缶林洪氏)의 집성촌이며, 상매댁은 그 가운데서도 규모가 가장 큰 가옥이다. 이 가옥은 당시 의흥현에서도 가장 오래된 가옥이었던 것으로 전해지며 '남천고택(南川古宅)'이라고도 불린다. 상매댁은 25여년 전의 부림홍씨 우태(宇泰)의 살림집이었고..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10.29
군위 한밤마을 대청(大廳) 군위 한밤마을 대청(大廳) 대율리 대청은 조선전기에 건립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인조 10년(1632)에 중창된 학사(學舍)이다. 효종 2년(1651)과 숙종 32년(1705)에 각각 중수된 바 있으며, 1992년에 완전 해체 보수되었다. 이 때에 부석재와 기와가 교체되었고 기단도 보수되었다. 대청은 이 마을 전..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10.28
군위 한밤마을(大栗里) 돌담 군위 한밤마을(大栗里) 돌담 ‘한밤마을’은 800여년전부터 돌만으로 쌓은 돌담길(2㎞ 정도)이 전통가옥과 함께 어우러져 전해지고 있으며, 문화재청과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전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돌담길로 선정되기도 했다. 옛날에 밤나무가 많았다고 해서 한밤마을로 이름 붙여진 경북 군위군 부..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10.28
군위 삼존석굴 모전석탑 군위 삼존석굴 모전석탑 이 모전석탑은 단층 기단 위에 단층의 탑신부를 조성한 특이한 형태로서 통일신라시대에 건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탑신부는 근래에 다시 축조되어 원형에서 변형되었으나 본래의 탑형을 유지하고 있다. 탑은 방형의 단층 기단 위에 화강석재를 걸고 얇게 장방형으로 잘라 방..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10.26
군위 삼존석굴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군위 삼존석굴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대좌(臺座)와 광배(光背)가 모두 없어진 채 현재의 지점에서 북쪽으로 30여 미터 떨어진 지점에서 발견되었는데, 1990년 대중창 불사 때 지금의 자리로 옮겨오면서 대좌는 새로 만들었다. 조성 기법으로 보아 비로자나불상이 많이 만들어지던 9세기말에 속하며, 석굴..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