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하회마을 원지정사(遠志精舍)
원지정사는 조선 선조 6년(1573) 서애 류성룡(西厓 柳成龍, 1542~1607)이 옥당(玉堂) 홍문관(弘文館) 재직 중 부친상을 당하자 고향에 내려와 지내면서 세운 정사이다. 화천 건너 보이는 원지산을 바라보고 있다고 하여 원지정사라 이름 붙였다고 한다. 정조 5년(1781)에 다시 연좌루(燕坐樓)를 지었으며, 1979년에 전체를 보수하고 사주문을 신축하였다. 현판 글씨는 일성 권응룡이 썼다. 정면 3칸, 측면 1칸 반의 규모로 대청 1칸에 2개의 온돌방을 두었고, 정면에는 반 칸 규모의 툇마루가 있다. 모기둥을 썼으되 전면의 기둥만 두리기둥을 세웠으며 홑처마에 맞배지붕을 얹었다. 다른 정자와 달리 방에 더 비중을 둔 까닭은 별도로 누각을 두었기 때문이다. 연좌루는 2층으로 1층에는 기둥들만 세워 두고 계단을 만들어 2층에 오르게 하였다. 2층은 정면 2칸, 측면 2칸의 건물로 기둥을 마루 아래 가운데에 세워 마루를 넓게 사용하게 했다. 사방을 개방하여 난간을 설치하였고 앞쪽으로는 부용대의 아름다운 경치를 볼 수 있다. 천장은 연등천장을 가설하였으나 부분적으로 우물천장을 하고 있다. 팔작지붕의 형성과 추녀 끝의 곡선이 제비의 자태를 연상할 수 있게 한 데서 이름을 연좌루(燕坐樓)라 하였다.
▲원지정사
▲원지정사와 연좌루
▲원지정사
▲연좌루
▲연좌루 지붕
▲연좌루 편액
▲연좌루
<2008. 8. 8>
'◈한국문화순례◈ > 영가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 예안이씨 종택(忠孝堂) (0) | 2008.09.27 |
---|---|
안동 하회마을 빈연정사(賓淵精舍) (0) | 2008.09.26 |
안동 하회마을 북촌댁(北村宅) (0) | 2008.09.24 |
안동 하회마을 초가(草家) (0) | 2008.09.23 |
안동 하회마을 삼신당(三神堂) (0) | 2008.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