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가일마을 남천고택(南川古宅) 안동 가일마을 남천고택(南川古宅) 남천고택(南川古宅)은 권장이 1850년(철종 1) 경에 그의 셋째 아들 권숙(1832∼1901)의 새간집으로 지은 가옥이다. 가곡리의 좌측에 남향해있으며 권숙의 택호에 따라 남천고택으로 명명되어 왔다. 사랑채는 서당의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 주목되는데..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10
안동 가일마을 수곡고택(樹谷古宅) 안동 가일마을 수곡고택(樹谷古宅) 가일 수곡고택은 조선 영조 16년(1792)에 권조가 조부 권부의 유덕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고택이다. 수곡고택은 'ㄷ'자형 안채와 '一'자형의 사랑채, '一'자형의 별당채와 문간채가 있다. 전체적으로 뒤쪽의 야산과 잘 어울려서 깔끔하면서도 운치가 돋보..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09
안동 가일마을 병곡종택(屛谷宗宅) 안동 가일마을 병곡종택(屛谷宗宅) 병곡종택(屛谷宗宅)이 언제 세워졌는지는 분명치 않으나 현재의 건물은 19세기 중엽에 중건된 것이라 한다. 길 가에 키 큰 회화나무 한 그루가 높이 팔을 뻗고 서 있고, 그 뒤를 판축으로 다져 만든 붉은 색 흙 담이 줄을 잇는다. 회화나무는 무슨 문지기..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09
안동 법흥동 군자정(君子亭) 안동 법흥동 군자정(君子亭) 정침 옆에는 임청각의 별당이자 사랑채인 군자정(君子亭)이 있다. 군자정은 목조 건물로는 보기 드물게 임진왜란을 겪은 오래된 건물이다. 군자정은 ‘丁’자형의 누각으로 된 별당 건축으로, 정면 2칸, 측면 2칸으로 구성된 대청이 남향으로 앉아 있고, 그 왼..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08
안동 법흥동 임청각(臨淸閣) 안동 법흥동 임청각(臨淸閣) 임청각(臨淸閣)은 세종 때 좌의정을 역임한 이원(李原, 1368~1429)의 여섯째 아들 이증(李增, 1419~1480)이 건축한 조선 중기의 종택 건물과 이증의 셋째 아들 이명(李洺)이 중종 때 세운 별당형 정자인 군자정(君子亭)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해 임시 정부의 초대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08
안동 내앞마을 의성김씨 종택(義城金氏宗宅) 안동 내앞마을 의성김씨 종택(義城金氏宗宅) 의성김씨 종택(義城金氏宗宅)은 의성김씨(義城金氏) 청계 김진(靑溪 金璡, 1500~1580)의 종가이다. 김진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영중(瑩仲), 호는 청계이다. 김진은 어려서부터 재능이 뛰어나고 뜻이 높아 기묘명유(己卯名..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07
안동 내앞마을 귀봉종택(龜峯宗宅) 안동 내앞마을 귀봉종택(龜峯宗宅) 귀봉종택(龜峯宗宅)은 귀봉(龜峯) 김수일(金守一, 1528~1583)의 종택이다. 1660년(현종 1)에 김수일의 현손부인 창녕조씨가 가묘와 함께 건립하였으며, 1888년(고종 25)에 김주병이 중건하였다고 한다. 조선 후기 중건한 귀봉종택(龜峯宗宅)은 안대청이 안마당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06
안동 내앞마을 백하구려(白下舊廬) 안동 내앞마을 백하구려(白下舊廬) 안동지역 애국계몽운동의 산실이자, 구국운동의 모체로 알려진 백하 김대락(白下 金大洛)선생의 옛 집인 백하구려(白下舊廬)는 사랑채를 확장하여 1907년 이 지역 최초로 근대식 학교인 협동학교를 개교했던 유래가 있는 집이다. 그의 나이 42세 때(1885)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05
영주 숙수사터 금동불입상 영주 숙수사터 금동불입상 <국립대구박물관> ▲금동불입상(신라, 7세기) <2011. 11. 12>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1.14
영주 숙수사터 금동보살좌상 영주 숙수사터 금동보살좌상 <국립대구박물관> ▲금동보살좌상(통일신라, 8세기) <2011. 11. 12>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