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성혈사 나한전 비로자나불좌상ㆍ나한상 영주 성혈사 나한전 비로자나불좌상ㆍ나한상 나한전 안에는 석조비로자나불좌상과 나한상들이 있다. 흰색으로 덧칠한 상태이며 통일신라시대의 불상양식을 지녀 절의 창건연대를 추정할 수 있게 해 준다. 연화좌 위에 결가부좌를 하고 있고 지권인을 맺고 있어 비로자나불임을 알 수 있..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7.02
영주 성혈사 나한전 영주 성혈사 나한전 성혈사는 신라시대 의상대사가 세웠다고 한다. 신라 의상대사가 소백산 기슭에 초암사를 지을 때의 일이다. 매일 서까래가 조금씩 없어져서 이상하게 여긴 스님이 서까래를 찾아 인근 숲을 돌아다니다 한 곳에 수북히 쌓여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스님은 서까래가 쌓..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7.02
영주 초암사 서승탑 영주 초암사 서승탑 승탑은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두는 곳으로, 초암사에 자리한 이 승탑은 그 주인공을 알 수 없다. 승탑은 상중하의 세 받침돌로 이루어진 기단(基壇) 위로 탑신(塔身)을 올렸는데, 바닥돌을 제외한 각 부분이 8각을 이루고 있다. 바닥돌과 한돌..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7.01
영주 초암사 동승탑 영주 초암사 동승탑 초암사 동승탑은 상중하 세 받침돌로 이루어진 기단(基壇) 위로 탑신(塔身)을 올렸는데, 바닥돌을 제외한 각 부분이 8각을 이루고 있다. 바닥돌은 각 면에 안상(眼象)을 새겼다. 아래받침돌은 8면마다 연꽃무늬를 조각하였고, 윗면에 3단의 괴임을 두어 윗돌을 받고 있..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7.01
영주 초암사 삼층석탑 영주 초암사 삼층석탑 초암사는 소백산 기슭의 조그마한 사찰로, 의상대사가 창건하였는데, 대사가 부석사 자리를 구할 때 초막을 지어 기거하던 곳이라고도 한다. 초암사 삼층석탑은 통일신라시대의 3층 석탑으로 높이는 350cm이다. 지대석 위에 이중기단을 설치하고 각 면석에는 모서리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7.01
영주 무섬마을 해우당 고택 영주 무섬마을 해우당 고택 해우당은 선성김씨 입향조 김대(金臺)의 셋째 집 손자 영각(永珏, 1809~1876)이 1856년 에 건립하였고 고종 때 의금부 도사를 지낸 해우당(海愚堂)김낙풍(金樂豊825~1900)이 1879년에 중수하였다. 건물의 평면구성은 전면의 대문을 중심으로 좌우에 큰 사랑과 아랫사랑..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30
영주 무섬마을 김위진 가옥 영주 무섬마을 김위진 가옥 김위진 가옥은 정면 5칸, 측면5칸반의 목조로 된 기와집으로 홑처마에 口자형 건물이다. 건물 전면의 사랑채는 사랑방과 연접(連接)된 1칸 사랑마루가 좌측으로 나와잇어 편 날개집을 형성하고 있다. 사랑채 앞면에는 툇마루를 설치하고 헌함(軒檻)을 둘렀다. 5..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30
영주 무섬마을 김규진 가옥 영주 무섬마을 김규진 가옥 김규진 가옥은 일반적인 6칸 까치구멍의 평면구성에서 마구간이 있어야 할 자리에 사랑방을 두었으며, 사랑채의 전명에는 쪽마루를 설치하고 외부로 통할 수 잇도록 세살문을 달았다. 마구간 자리에 사랑방이 위치한 것은 6칸 까치구멍집의 초기 변화단계로서..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29
영주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영주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낙동강 줄기에는 강물이 산에 막혀 물돌이동을 만들어 낸 곳, 물 위에 떠 있는 섬이라 하여 무섬마을이라 불린다. 마을 주변을 낙동강의 지류인 내성천과 서천이 휘돌아 흐르는 대표적인 물동이마을이다. 무섬마을의 역사는 166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반남(潘..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29
해동화엄종찰 - 영주 북지리 비로자나불좌상 해동화엄종찰 - 영주 북지리 비로자나불좌상 이제 내려갈 시간이다. 그러나 마지막으로 들를 곳이 한 곳 있다. 비록 부석사 부처님을 모신 곳은 아니지만 현재는 부석사 경내에 있으니 뵙고 가는 것이 도리일 것이다. 의상대사를 모신 조사당을 나와서 자인당으로 향한다. 자인당은 부석..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