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화엄종찰 - 영주 북지리 삼층석탑 해동화엄종찰 - 영주 북지리 삼층석탑 당간지주에서 천왕문을 지나 대석단을 오르면 동서로 아담한 두기의 삼층석탑이 반긴다. 삼층석탑은 원래 부석사에 있던 탑이 나이고 부석사에서 동쪽으로 약 200m 떨어진 옛 절터에 남아있던 것을 1966년 이곳 부석사로 옮겨 세웠다. 탑을 옮길 때 세..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18
해동화엄종찰 -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 해동화엄종찰 -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 해동화엄종찰 부석사. 영주시 부석면 양백지간, 즉 태백산과 소백산 사이에 위치한 부석사. 절이름이 그대로 지명이 되었을 만큼 부석사는 유명하다. 우리나라 곳곳에 절골이니 탑골이니 하는 마을 이름들이 전한다. 그 이름들 모두가 절 때문에 붙..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18
봉화 가평리 계서당 봉화 가평리 계서당 조선 광해군 5년(1613)에 지어진 창녕 성씨 집성촌에 있는 종택이다. 조선 중기 문신이었던 계서 성이성(成以性)이 이곳에서 문중 자제들을 가르치고 후학양성에 힘썼다. 소나무 숲이 우거진 동산 기슭에 남향으로 자리잡고 있는 집으로 조선 중기의 문신 계서 성이성(15..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17
봉화 축서사 석등 봉화 축서사 석등 축서사 보광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8각 석등으로, 등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3단의 받침돌을 두고, 위에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었다. 아래받침돌에는 연꽃을 새겼는데, 꽃잎의 끝마다 작은 꽃조각이 달려 있다. 그 위에 세운 가운데기둥은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17
봉화 축서사 비로자나불좌상 봉화 축서사 비로자나불좌상 축서사 보광전에 봉안되어 있는 통일신라시대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전체적으로 호분이 두껍게 칠해져 원래의 모습을 많이 잃어버렸지만 석조대좌는 화강암을 그대로 두었다. 문수산(文殊山) 정상 가까이에 자리잡은 축서사에 모셔져 있지만, 원래부터 이..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16
봉화 북지리 마애불상군ㆍ마애탑 봉화 북지리 마애불상군ㆍ마애탑 마애여래좌상에서 약 100m 정도 덜어진 바위 암벽에 새겨진 마애삼존불과 승상 그리고 마애탑이 희미하게 새겨져 있다. 삼존불이 새겨진 바위의 풍화가 심해 날이 갈수록 삼존불의 모습이 쇠해 가는 것이 안타깝기만 하다. 이 불상들을 북지리 마애불상군..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16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 북지리 마애여래좌상은 바위면에 조각된 독존의 거상으로 원각상에 가까운 고부조로 조각되어 있으나 보존상태가 좋지 않다. 자연암벽을 파서 불상이 들어앉을 거대한 방모양의 공간을 만들고, 그 안에 높이 4.3m의 마애불을 매우 도드라지게 새긴 것이다. 수인..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15
봉화 닭실마을 청암정 봉화 닭실마을 청암정 충재에서 작은 바위섬을 연결해 주는 장대석 돌다리를 건너면 바로 청암정이다. 널찍한 마당 한쪽에 따로 담을 둘러 독립된 별서 정원을 만들어 놓았는데, 쪽문을 열고 들어서면 연못 가운데 큼직한 바위섬이 있고 그 바위 전체를 집터로 삼은 丁자형 정자이다. 바..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14
봉화 닭실마을 충재 봉화 닭실마을 충재 충재 종택에서 서쪽 돌담장 넘어 청암정 앞에 세워진 3칸 건물인 충재(沖齋)는 공부방 겸 서재이다. 寒栖堂(한서당)이라고도 불린다. 2칸은 온돌방이며 제일 오른족 칸은 마루로 이루어져 있다. 마루에의 2면은 틔워져 있고 한면은 방으로 들어가는 문이며 나머지 한 면..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14
봉화 닭실마을 권충재 종택 봉화 닭실마을 권충재 종택 닭실마을은 마을 모양이 금계포란형(金鷄抱卵形)의 지세라 '유곡(酉谷)'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금계포란형이란, 수탉과 암탉이 서로 마주보고 사랑을 나누며 알을 품고 있는 모양을 일컬으며, 닭이 알을 품은 형태는 자손들이 번창하고 재물도 늘게 된다..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