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신암리 두암고택 가랍집 영주 신암리 두암고택 가랍집 <영주 선비촌> 영주 선비촌은 예전 우리나라의 오랜 전통가옥을 복원하고 생활상을 재현하여 유교문화를 직접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만든 곳이다. 선비촌에는 기와집 7채, 초가집 5채 등 모두 12채의 전통가옥을 재현하였는데 이는 영주시 일원 특히..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7.11
조선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경자바위 조선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경자바위 소수서원 앞을 흐르는 죽계천변 큰 바위에 선비의 덕목을 나타내는 글자인 敬(경)자를 붉은 글씨로 새긴 바위가 있다. 서원에서 학문을 공부하는 생원, 진사들이 늘 보고 마음에 새긴 글자일 것이다. 주세붕 선생은 백운동서원을 창건한 후 이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7.08
조선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죽계천ㆍ취한대 조선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죽계천ㆍ취한대 소수서원을 북서쪽에서 북동을 지나 남동쪽으로 감돌아 흐르는 죽계천은 고려 때 안축의 죽계별곡의 창작배경지가 된 곳이며, 조선시대에는 퇴계 이황이 죽계구곡을 명명한 곳이기도 하다. 죽계천 건너편에는 운치있는 소나무 숲 속에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7.08
조선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영정각 조선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영정각 영정각에는 회헌 안향선생을 비롯하여 다섯분의 초상을 봉안한 곳이다. 회암 주희, 회헌 안향, 신재 주세붕, 오리 이원익, 미수 허목이 그분들이다. 영정각 앞마당에 일영대라 불리는 유적이 남아있다. 일영대(日影臺)는 해시계로 알려져 있다. 맑..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7.08
조선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학구재ㆍ지락재 조선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학구재ㆍ지락재 원장실과 교수실 뒤로는 學求齋(학구재)와 至樂齋(지락재)가 있는데, 유생들의 기숙사다. 학문을 상징하는 「三」을 취하여 세 칸으로 지었고, 공부 잘하라는 뜻으로 건물 立面이 「工」 자로 되어 있다. 학생은 스승의 그림자도 밟아서..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7.07
조선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일신재ㆍ직방재 조선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일신재ㆍ직방재 直方齎(직방재)와 日新齎(일신재)란 현판이 붙은 건물 하나가 있다. 서쪽의 직방재는 소수서원의 원장, 동쪽의 일신재는 교수들의 숙소다. 그 중간방은 諸任(제임), 즉 행정요원들의 방이다. '大學'에서 '日新'을, '周易'에서 '直方'을 따서..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7.07
조선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 조선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 소수서원의 정문인 홍전문을 지나면 동쪽에 門成公廟(문성공묘)가 있다. 文成公 안향의 위패를 모신 곳으로, 安軸(안축)·安輔(안보) 형제와 주세붕을 배향했다. 안축은 景幾體歌(경기체가)인 「關東別曲」(관동별곡)과 「竹溪別曲」(죽계별곡..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7.06
조선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강학당 조선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강학당 소수서원(紹修書院)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賜額書院)으로, 숙수사(宿水寺) 터에 세워졌다. 절터에 서원을 조영하였다는 사실은 사원에서 서원으로 옮겨가는 시대적 전환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조선 중종 대에 풍기군수로 부임한 주..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7.06
조선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경렴정 조선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경렴정 서원입구에서 시작되는 숲속 길이 끝날 무렵이면 죽계천변에 「景濂亭」(경렴정)이라 쓰인 참한 정자 하나가 서 있다. 주세붕(周世鵬)이 1543년 지었다고 한다. 현판의 글씨는 퇴계의 제자인 초서의 대가 黃耆老(황기로)가 썼다. 경렴정(景濂亭)은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7.05
조선 최초의 사원 - 영주 숙수사터 당간지주 조선 최초의 사원 - 영주 숙수사터 당간지주 차를 내려 잘 뻗은 소나무 숲 사이로 난 길을 따라 들어가면 절집에서나 만날 수 있는 당간지주가 한 쌍이 서 있다. 서원에 웬 당간지주일까? 서원이 있는 자리는 통일신라시대의 절터였던 곳이다. 절 이름은 숙수사(宿水寺) . 언제 폐사되었는..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