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문국의 꿈 - 의성 조문국박물관 단지 조문국의 꿈 - 의성 조문국박물관 단지 <의성 조문국박물관> 甕 삼한시대 기증자 박찬 ▲단지 <2013. 5. 4>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3.06.21
조문국의 꿈 - 의성 조문국박물관 붉은간토기 조문국의 꿈 - 의성 조문국박물관 붉은간토기 <의성 조문국박물관> 丹塗磨硏土器 청동기시대 기증자 박찬 ▲붉은간토기 <2013. 5. 4>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3.06.21
조문국의 꿈 - 의성 조문국박물관 파수부호 조문국의 꿈 - 의성 조문국박물관 파수부호 <의성 조문국박물관> 손잡이 달린 항아리 청동기시대 기증자 박찬 ▲파수부호 <2013. 5. 4>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3.06.21
군위 삼존석굴 모전석탑 군위 삼존석굴 모전석탑 이 모전석탑은 단층 기단 위에 단층의 탑신부를 조성한 특이한 형태로서 통일신라시대에 건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탑신부는 근래에 다시 축조되어 원형에서 변형되었으나 본래의 탑형을 유지하고 있다. 탑은 방형의 단층 기단 위에 화강석재를 걸고 얇게 장방형..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11.20
군위 지보사 삼층석탑 아수라상 군위 지보사 삼층석탑 아수라상 팔부중은 부처가 설법할 때 항상 따라다니며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8종류의 신장상(神將像)이다. 천룡팔부(天龍八部)·팔부신장(八部神將)이라고도 한다. 인도의 고대에 불교 성립 이전부터 있던 여러 신인데, 불교에 수용되어 불법과 불국토(佛國土) 수..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11.20
영주 수도리 만죽재 고택 영주 수도리 만죽재 고택 <영주 선비촌> 만죽재 고택은 무섬마을의 입향시조인 박수(朴隨)가 1666년도에 최초로 건립한 가옥으로 북부지역의 口자형 평면을 잘 간직하고 있는 건물이다. 정면 5칸, 측면 5칸의 와가로서 옛 선비들의 단아한 격식이 느껴지는 고택이다. 안마당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7.13
영주 금광리 장휘덕 가옥 영주 금광리 장휘덕 가옥 <영주 선비촌> 장휘덕 가옥은 선비촌에서 가장 작은 규모의 초가집이다. 가옥의 구성 또한 안방, 사랑방, 부엌 등 최소한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건충연도는 1900년으로 추정하며 정면 3칸, 측면 2칸의 홑처마 3량가 ㄱ자형 민도리집이다. ▲장휘덕 가옥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7.13
영주 화기리 인동장씨 종택 영주 화기리 인동장씨 종택 <영주 선비촌> 조선 초기의 선비 장응신(張膺臣)의 옛 집이다. 장응신은 연복군 장말손(張末孫, 1431~?)의 손자로, 아버지 장맹우(張孟羽, 1470~1511)가 김안로의 미움을 받아 황해 도사로 좌천된 후 갑자기 병사하자 동생 장응필과 함께 영주시 초곡마을(지금의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7.12
영주 석포리 김구영 가옥 영주 석포리 김구영 가옥 <영주 선비촌> 김구영 가옥은 20평 쯤 되는 본채와 헛간으로 이루어진 일자형의 초가다. 김구영가옥은 안방, 사랑방, 부엌, 마루, 둥당 등이 한 채에 딸려 있고 앞뒤 양쪽으로 통하는 양통집으로 경상북도 지역의 대표적인 서민주택이라 할 수 있다. 양통집은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7.12
영주 신암리 우금촌 두암고택 영주 신암리 우금촌 두암고택 <영주 선비촌> 두암고택은 영월군수, 해미현감을 역임한 두암 김우익(斗岩 金友翼, 1571~1639) 선생이 건립한 가옥으로 안동 장씨 고택과 함께 선비촌에서 가장 규모가 크며 중심이 되는 가옥이다. 두암 김우익 선생이 선조 23년(1590) 20세에 분가할 때에 건립..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2.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