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경렴정
서원입구에서 시작되는 숲속 길이 끝날 무렵이면 죽계천변에 「景濂亭」(경렴정)이라 쓰인 참한 정자 하나가 서 있다. 주세붕(周世鵬)이 1543년 지었다고 한다. 현판의 글씨는 퇴계의 제자인 초서의 대가 黃耆老(황기로)가 썼다. 경렴정(景濂亭)은 유생들이 시를 짓고 학문을 토론하며 마음의 여유를 찾던 공간이다. 주세붕 선생이 백운동서원을 건립하면서 이 정자를 지었으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된 정자 중의 하나이다. ‘경렴정’이란 이름은 중국 북송의 철학자 염계 주돈이(濂溪 周敦頤)를 경모하는 뜻에서 그의 호에서 첫 글자‘濂’자를 취했고 안향 선생을 높인다는 뜻에서‘景’자를 취해 붙인 것이다.
전면 3칸에 측면 1칸의 건물로 우물마루바닥에 4면으로 계자난간을 둘렀으며 일필휘지의 호방함을 느낄 수 있는 경렴정의 초서 현판은 조선 중기 퇴계의 문인인 고산 황기로(孤山 黃耆老)의 글씨다. 서원경내와 외부 자연풍경을 이어주는 사방이 시원하게 트인 경렴정은 원생이나 유림이 모여 시연(詩宴)을 열며 풍류를 즐기고 심신을 고양할 수 있는 중요한 공간이었다. 정자 내부에는 주세붕 선생과 퇴계 선생 등 당대 여러 묵객(墨客)들의 자연을 노래한 시판(詩板)이 걸려 있다.
▲경렴정
▲경렴정
▲경렴정 편액
<2012. 5. 27>
'◈한국문화순례◈ > 영가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 (0) | 2012.07.06 |
---|---|
조선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강학당 (0) | 2012.07.06 |
조선 최초의 사원 - 영주 숙수사터 당간지주 (0) | 2012.07.05 |
영주 성혈사 나한전 비로자나불좌상ㆍ나한상 (0) | 2012.07.02 |
영주 성혈사 나한전 (0) | 2012.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