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 대견사터 삼층석탑
이 석탑은 대견사터 절터에 흩어져 있던 석탑재를 1988년 달성군에서 복원한 것이다. 이 탑은 이층기단에 삼층탑신을 올린 형식으로 기단부는 2단으로 되어 있다. 암반을 지대석으로 하고 그 위에 하층기단, 그 위에 상대면석과 상대갑석을 다른 돌로 다듬어 세웠다. 하대석에는 양쪽 모서리 기둥과 버팀기둥 하나를 돋을새김했으나, 상태면석에는 양쪽의 모서리 기둥만을 돋을새김했다. 옥개와 탑신을 각각 돌 하나로 만들었다. 옥개석에는 4단의 지붕돌받침과 2단의 괴임을 조각하고 탑신은 모서리 기둥만을 돋을 새김했다. 기단부에 퇴화 현상이 있고, 전체적으로 보면 탑 모양이 가늘고 높게 올라갔다. 이 석탑은 전형적인 신라석탑에서 벗어나 퇴화된 양식을 보이는 고려전기의 작품이다. 탑의 자리 설정이 경주 남산의 용장사터 삼층석탑과 유사하다. 대견사도 유가종 사찰이었으며 용장사 또한 유가종 사찰이었다고 한다. 유가종 사찰의 입지에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는 알수 없다.
▲대견사터(大見寺址) 전경
▲삼층석탑
▲삼층석탑
▲삼층석탑
▲삼층석탑
▲삼층석탑
▲삼층석탑
▲삼층석탑
▲탑신부
▲기단부
▲대견사터 삼층석탑
▲대견사터 삼층석탑
<2008. 5. 18>
'◈한국문화순례◈ > 달구벌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성 현풍 석빙고 (0) | 2008.06.05 |
---|---|
달성 비슬산(琵瑟山) (0) | 2008.06.05 |
달성 비슬산 대견사터(大見寺址) (0) | 2008.06.03 |
달성 비슬산 소재사(琵瑟山消災寺) (0) | 2008.06.02 |
경산 옥곡동 출토 돌칼(磨製石劍) (0) | 2008.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