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용화전 미륵후불탱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용화전 미륵후불탱 <통도사성보박물관> 조선 1798年 석가모니 부처님에게서 미래에 부처님이 될 것이라는 수기(授記)를 받아 앞으로 출현하실 분을 미륵불(彌勒佛)이라고 한다. 미륵불이 출현하는 시기는 석가모니불이 열반하고나서 56억 7천만년이 지난 후이며, 이때..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1.05.12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응진전 석가모니후불탱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응진전 석가모니후불탱 <통도사성보박물관> 나한(羅漢)은 부처님의 뒤를 따르는 아라한(阿羅漢)의 준말로, 부처님의 바로 아래 단계까지 깨달은 덕(德) 높은 고승(高僧)을 말한다. 특히 16나한은 석가모니로부터 부처님이 되리라는 수기(授記)를 받은 이들로서 석가모..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1.05.11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약사전 약사여래후불탱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약사전 약사여래후불탱 <통도사성보박물관> 조선시대 1775年 약사경(藥師經)에 의하면 약사여래는 과거 보살행(菩薩行)을 닦을 때 중생의 질병을 치료하고 고뇌를 제거한다는 내용을 담은 12가지 서원(誓願)을 세워 부처님이 되었다. 따라서 약사여래는 현세 이익적 성..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1.05.10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 석가모니후불탱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 석가모니후불탱 <통도사성보박물관> 화신(化身) 석가모니불은 중생을 구제하고자 중생들의 요구에 응하여 그들과 같은 모습으로 세상에 화현(化現)해서 출가수행 끝에 성도하셨기 때문에 응신(應身)이라고도 한다. 또한 중생들의 근기(根氣)에 따라 제각기 ..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1.05.09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 노사나후불탱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 노사나후불탱 <통도사성보박물관> 보신(報身) 노사나불은 과보(報)의 몸(身)이란 뜻으로 원만무궁한 복덕(福德)을 상징한다. 부처님은 한량없는 세월동안 지어온 수많은 행과 원으로 이루어진 결과이기 때문에 이 부처님을 `원만보신 노사나불'' 이라고도 한..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1.05.08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 비로자나후불탱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 비로자나후불탱 <통도사성보박물관> 법신(法身) 비로자나불은 진리 그 자체를 인격화해서 표현한 부처님이다. 진리는 마치 광명과 같아서 특별한 형상이 있을 수 없고 온 우주에 두루 편재(偏在)해 있는 청정무구 그 자체이므로 이 부처님을 `청정법신 비로..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1.05.07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극락보전 아미타후불탱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극락보전 아미타후불탱 <통도사성보박물관> 조선시대 1740年 극락보전은 서방극락정토(西方極樂淨土)를 관장하고 중생들의 극락왕생을 인도하는 아미타부처님을 모신 불전(佛殿)으로 무량수전(無量壽殿) 또는 미타전(彌陀殿)이라고도 한다. 아미타신앙은 살아서는 수..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1.05.06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영산전 석가모니후불탱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영산전 석가모니후불탱 <통도사성보박물관> 조선시대 1734年 영산전은 석가모니불과 팔상탱을 봉안하는 전각으로 팔상탱화를 봉안하고 있어 팔상전이라고도 한다. 석가모니불이 영축산에서 법화경을 설법하시는 장면은 그림으로 표현한 것을 석가모니후불탱이라고 ..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1.05.05
통영 삼덕리 당포성터(唐浦城址) 통영 삼덕리 당포성터(唐浦城址) 당포성은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1371년(공민왕 20)에 최영 장군이 병사와 많은 백성을 이끌고 성을 쌓고 왜구를 물리친 전승지이다.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발발하여 왜군들에게 일시적으로 점령당하지만 이순신 장군이 회복하여 통제영이 설치될 때까지 성으로..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1.03.03
통영 삼덕리 마을제당(祭堂) 통영 삼덕리 마을제당(祭堂) 삼덕리 마을제당은 한국의 농어촌에 폭넓게 분포되엇던 동제신앙의 하나로 천신제, 산신제, 용마제, 잡신제, 조상제, 벅수제, 별신제 등이 합쳐진 다신적 신앙 예배를 드리는 곳이다. 이곳에는 장군당, 장군신 산신화, 나무로 만든 말, 천제당, 돌벅수 1쌍 당산신목 등 일련..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1.03.02